사회서비스 부문 확대로 고용구조 개편
사회서비스 부문 확대로 고용구조 개편
  • 승인 2005.05.16 08: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8차 사회문화정책관계 장관회의 개최

정부는 김근태 보건복지부장관 주재로 10일 오전, 프레스센터에서 2005년도 제8차「사회문화정책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여 “사회서비스 부문 일자리 확충방안”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날 노동부는 OECD회원국의 경험에 비춰 교육, 보건, 보육 등 사회서비스 분야의 일자리 창출 잠재력이 가장 크다고 보고하고 이를 통해 복지수준 제고와 고용구조 개선,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등 일석삼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발표했다.

현재 한국은 보건의료와 복지 분야의 고용비중이 2.4%로 스웨덴의 18.7%나 미국의 10.1%보다 많이 못미치는 상황이다. 반면 도소매업과 음식숙박업이 23%로 상대적으로 자영업자가 많아 고용환경이 불안정한 상황이다.

이에 회의에서는 민간영역의 일자리 확충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사회서비스 부문 일자리 창출 여건조성을 위한 진입규제 완화 등 제도개선사항에 대한 논의를 마쳐 8월 초순까지 총괄 보고하기로 했다.

아울러, 복지부에서는 노인·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일자리 추진체계와 개선대책을 보고하기로 논의했다.

한편 OECD를 비롯한 주요 선진국에서는 지난 10년간 소득 1만불에서 2만불로의 이행과정에서 고용확대를 경험하고, 고용증가의 40%가 교육, 의료 등 사회·개인 서비스 분야에서 창출된 바 있다. 이들 분야는 고령화, 생활방식 변화, 소득 증가 등으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기술 발전에 따라 생산성이 크게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