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틈새시장을 비집고 들어온 편의점과 무점포 판매업의 약진도 눈에 띈다. 그러나 백화점은 10년간 정체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동네 슈퍼마켓은 힘겨운 생존 경쟁에 몸부림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5일 내놓은 ‘통계로 보는 유통개방 10년’ 보고서에서 “슈퍼마켓 등 소규모 점포의 위상이 급격히 추락한 반면 대형 할인점과 편의점, 무점포 판매 등 신(新)업태가 급성장함으로써 국내 소비시장에 일대 지각변동을 가져온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대형 할인점의 판매액은 개방 원년인 1996년 대비 779.6%, 편의점은 197.2% 늘었으며, 무점포 판매업 역시 통계조사를 시작한 2000년 대비 70.0% 증가했다. 반면 슈퍼마켓과 구멍가게 등이 주를 이루는 기타 소매업은 각각 19.4%,12.0%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백화점은 1.9% 증가하는 데 그쳤다.
대형 할인점의 급성장은 유통업태별 점포 수에서도 확연히 드러난다.96년 28개에 불과했던 대형 할인점은 지난해 말 275개로 10배가량 늘었다. 반면 96년 70만 6000개로 추산되던 종업원 4인 이하 영세 소매상은 무려 8만개나 사라졌다.
시장개방에 따른 경쟁 촉발로 유통업체들의 생산성도 크게 바뀌었다. 종업원 20인 이상의 중대형 소매업체는 1인당 매출액이 97년 7600만원에서 2003년 1억 8300만원으로 급증했다. 이에 반해 4인 이하 영세 소매업체는 같은 기간 5700만원에서 5900만원으로 정체됐다.
유통시장 개방은 소비자의 구매 패턴에도 영향을 미쳐 저가의 다양한 품목을 확보한 대형 할인점으로 ‘쏠림 현상’을 가속화시켰다. 특히 과거 동네 슈퍼마켓에서 구입하던 식료품은 대형 할인점에서 구매하게 됐으며, 전자상가나 가구단지 등에서 구입하던 내구재 역시 대형 할인점에서 구입하는 소비자들이 늘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