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는 2분기 들어서도 경기 회복조짐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지만, 지표경기 개선이 체감경기로 이어지는 데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재정경제부는 현 상황은 긍정적 지표와 부정적 지표가 혼재된 경기전환기적 상황으로, 향후 경기에 대한 판단은 4월 말 이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재정경제부는 11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에서 지난 2년간 부진을 면치 못했던 민간소비가 1분기 들어 소비회복 조짐이 완만한 증가세로 돌아섰고 설비투자도 지난해 1, 2월 평균보다 5.3%나 증가하는 등 다소 개선되고 있다고 밝혔다.
민간소비는 3월에도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3월 속보지표에 따르면, 신용카드 사용액은 전년동월대비 17.3%가 증가했으며, 백화점 및 할인점 매출도 5%, 2% 수준에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재경부는 향후 설비투자는 기업경기실사지수(BIS)가 기준치인 100을 상회하는 등 투자심리 회복에 따라 긍정적으로 나타날 전망이나, 국내기계 수주 감소 등을 감안하면 본격적인 회복에는 다소 시일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수출은 환율하락과 유가상승, 기저효과 등 어려운 여건에도 3월 수출액이 사상 처음으로 240억 달러대에 진입
이와 함께 3월 소비자 물가는 환율하락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분 일부 상쇄, 교육비와 농축산물 가격 상승률의 둔화 등에 힘입어 3.1%로 안정세를 보였으며, 근원인플레이션율도 2월보다 둔화되면서 지난해 6월 이후 최저수준을 기록했다. 다만 기본 생필품 위주의 생활물가는 담배값 인상 등으로 지난해 3월보다 4.5% 상승했다.
재경부는 4월에도 소비자물가는 유가 등의 변수가 있으나 지난달 도시가스 요금이 8.5% 인하한 효과가 반영되면서 3%대 초반의 안정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고용사정은 경기 후행적인 요인을 지니고 있어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고용효과가 큰 내수경기가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어 점차 개선될 것으로 기대됐다.
한편, 한국은행이 조사한 소비자심리지수는 올 1분기에 지난 2003년 2분기 이후 처음으로 기준치인 100을 상회했으며,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기대지수도 지난 2002년 9월 이후 30개월 만에 기준치를 웃도는 등 소비심리가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