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숙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최근 `한계노동력 경제활동 참가형태에대한 연구' 보고서에서 지난 98년부터 2002년까지 5년간 2만2천182명을 대상으로 노동시장 진입, 퇴출, 노동형태 등을 관찰한 결과 빈번한 이동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주 36시간 이상 노동', `주 36시간 이하 노동', `실업', `비경제활동' 등 4가지 범주로 나눠 살펴본 결과 5년간 노동형태가 변하지 않은 경우는 30.6%에 불과했으며 1번 이상 바뀐 경우가 4.36%, 2-5번 바뀐 경우는 27.5%, 6번 이상 변화한 경우는 37.6%에 달했다.
관찰시작 시점에서 실업과 비경제활동을 포함해 미취업상태였던 대상(7천530명)만을 추출, 지속성을 살펴본 결과 취업자가 되는 순간까지 평균 17.2개월이 걸렸다.
성별로는 여자가 18.5개월이 소요된 반면 남자는 13.5개월이 걸렸고 연령별로는15-24세가 23.5개월로 가장 오래 걸렸으며 다음이 25-54세 15.2개월, 65세 이상 14.2개월, 55-64세 12.7개월 순이었다. 학력별로는 고졸미만이 18.5개월, 고졸-대학중퇴 16개월, 대졸 이상은 15.9개월이었다.
또 5년내에 취업하는 사람들의 비중이 58.4%에 달했으나 이들중 취업후 다시 미취업을 경험하는 사람의 비중 역시 80.6%로 높았다.
윤 연구위원은 일반적으로 여성, 청소년, 고령, 저학력그룹에서 미취업상태의지속기간이 보다 길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면서 90년대 중반 유럽의 경우 평균적으로 4.25년, 미국의 경우 이 기간이 3.5년인 것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미취업상태의 지속기간이 상당히 짧다고 지적했다.
윤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경우 미취업인구를 노동시장으로 끌어내기가 상당히용이하다는 함의가 있지만 일단 취업이 된 이후에 다시 퇴출하기까지의 지속기간 역시 매우 짧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