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매시장과 물류센터의 기능을 보면
· 도매시장 거래제도는 불특정다수 출하자인 개별농가, 작목반, 농협 등이 출하시기, 상품형태, 출하량 등에 제약을 받지 않고 출하자의 일방적인 출하로 도매시장에 상장되어 경매 또는 입찰의 방식에 의해 가격이 결정되는 제도이며,
· 물류센터 거래제도는 도매시장과 달리 사전에 출하를 예약한 출하자가 물류센터가 원하는 시기에 예약된 우수 농산물과 물량을 사전에 합의된 가격으로 판매되는 제도임.
※도매시장과 물류센터의 양 시설이 건설되어 상호 보완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농산물 유통에 시너지 효과가 발생
□ 도매시장만 있을 경우 문제점
· 불특정 다수인이 다량 출하하기 때문에 상품성이 떨어지며, 출하시기, 상품의 형태, 출하량 등에 제약이 없어 홍수출하 등으로 가격변동이 심함
□ 물류센터 건설의 필요성
· 도매시장 문제점을 개선하고 유통시설을 다원화하여 생산자와 소비자의 출하 및 구매의 선택권을 확대하여 도·소매 유통체계를 경쟁구도로 전환시키므로써 고효율 저비용 구조로 개선이 필요함.
※ 물류센터건설사업은 소요 사업비가 과다하여 자치단체가 건설하기 어려우므로 중앙(농림부)지원이 필요한 사업임.
□ 전국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현황을 보면
· 농산물유통센터는 ‘95년부터 건설하여 ’98년 개장된 서울 양재동 종합물류센터를 비롯하여 ‘03년까지 13개소의 물류센터가 준공 개장되어 운영중에 있으며, 현재 3개소가 건설중에 있으며,
· 수도권 5개소와 부산, 대구, 대전, 울산 등은 개장 운영되고 있으나 광주와 인천에는 아직 건설하지 못하고 있음.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