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사고 식품군에 대해선 해당 식품의 소비를 대폭 줄이는 등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같은 결과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최근 발간한 `식품안전관리에 관한 국민의 인지도 및 그 체감도에 따른 행동유형에 관한 조사 연구 보고서'에서 나왔다. 조사는 전국의 성인남녀 283명을 대상으로 4차례에 걸쳐 실시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들의 인지도가 가장 높은 식품 사고는 지난해 5월 발생한 `만두 파동'으로 87.6%가 기억하고 있었다.
다음으로는 2000년의 납 꽃게, 볼트가 들어간 수입 생선(83.1%), 2002년의 이물질이 들어간 학교 급식(80.6%), 2002년의 불량고추가루(78.3%), 지난해 8월의 폐드럼통에 보관된 젓갈(68.8%) 등의 순으로 인지도가 높았다.
심지어는 1990년의 공업용 우지 라면 파동에 대해 68%가, 1995년에 발생한 식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원유를 사용한 고름 우유 사고에 대해서도 51.9%가 기억하고 있었다.
식품 사고는 해당 식품에 대한 섭취 횟수를 떨어뜨리는 등 식품 소비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만두파동 사건을 기점으로 만두를 많이 먹는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56%에서 28.5%로 절반 정도 줄어들었다.
포르말린 코팅된 번데기ㆍ골뱅이 통조림 사고 이후 이에 대한 섭취 빈도도 30.8%에서 15.7%로 떨어졌고 공업용 우지라면 파동도 라면 섭취빈도를 50.8%에서 25%로 하락시킨 요인이 됐다.
폐드럼통에 보관된 젓갈(33.1%→23.1%), 고름 우유(26.7%→20.8%), 납꽃게, 볼트가 들어간 수입생선(25.2%→19%) 등도 해당 식품을 덜 먹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