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임금 정규직의 49% 수준
비정규직 임금 정규직의 49% 수준
  • 승인 2005.01.26 12: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U국가들 평균 70%대...우리나라 2003년 49%

26일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비정규직의 임금수준이 정규직의 50%에 불과해 외국과 비교해 지나치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이 작성한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이원화 실태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상용직 임금 대비 비정규직 임금은 지난해 2002년 53.4%에서 2003 년에는 오히려 49.7%로 낮아진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에 시간제근로와 파견·용역근로, 특수고용형태 등 대안적 고용 관계 근로자의 임금은 2002년 상용직의 48.1%에서 2003년 41.1% 로 낮아졌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비정규직의 임금수준은 유럽연합(EU) 국가들의 임시직 임금이 상용직의 70% 정도인 점을 감안하더라도 직무나




개인별 특성을 고려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밝히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02년 고용통계에 의하면 유럽 국가 들 가운데 주 30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상용직 대비 임시직 임금의 비중은 독일이 83%인 것을 비롯해 ▲벨기에 79% ▲덴마크 78% ▲핀란드 77% ▲영국 74% ▲이탈리아 72% ▲프 랑스 71% 등이었다. 이밖에 ▲그리스·아일랜드 67% ▲포르투갈 65% ▲네덜란드 63% ▲스페인 53% 등은 상대적으로 임시직의 임 금비중이 낮았으나 우리나라보다는 높았다.

이번 보고서를 작성한 한국은행의 관계자는 “구미 각국이 정규직 대비 임시직의 임금비중이 높은 이유는 노동시장의 유연화 정책에 따라 근로시간에 비례해 임금을 보장하는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