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입지, 급격히 축소...차제에 '귀족노조' 변화를
기아차 광주공장 노조의 '채용비리'의 수사 방향이 잡혀 지고 있는 가운데 기아차 노조 뿐만 아니라, 전체 정규직 노조의 도덕성 마저 심각한 타격을 받아 민주노총 입지의 급격한 축소 증 파문이 일파만파로 퍼지고 있다. 이번 사건은 지난 20일 사건이 알려지면서 광주공장 안팎과 인터넷 등을 통해 지난해 1079명의 비정규직 생산직원을 채용하는 과정에서의 숱한 비리 의혹이 제기됐다.
이번 사건으로 인해 대기업 노조에서 발생한 '물밑 거래'에 대한 비난여론이 들끓고 있어 향후 '귀족노조'에 대한 감시와 위상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아, 한동안 지금까지의 노조가 주장해 왔던 요구사항들이 상당량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과연 소수의 대기업 노조가 전체의 노동자들을 대변하는 것이 합당한 것이냐에 대한 논란이 다시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노사정 참여 등 대기업 노조를 중심으로 하고 있는 민주노총의 활동에 브레이크가 걸린 셈이다.
기아차 노조 채용비리 사건을 수사중인 광주지검 전담수사반(형사2부장 이광형)은 23일 핵심인물인 노조지부장 정모씨(45)에 대해 체포영장을 발부받고 신병확보에 나섰으며 검찰의 칼날이 어디로 향할지 향방이 주목되고 있는 상황이다.
광주지검은 정모씨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받음으로써 금품을 건넨 입사자 7~8명과 대질신문 등을 통해 금품 1억8천만원을 받은 경위에 대해 조사할 계획이다.
검찰은 또한 박홍귀 전 기아차 노조위원장이 이날 정씨의 금품수수 사실을 밝힘에 따라 정씨의 신병을 확보하는 대로 채용비리에 연루된 인원과 금품수수액 규모, 브로커 개입 여부, 회사측에 금품을 건넸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한다.
또한 기아차 노조는 회사 인사담당 등 전·현직 직원 10여명으로부터 지난해 계약직 사원 채용과정에서 노조에 인원을 20~30% 할당하고, 정치권 등 외부청탁에 의한 채용도 있었다고 주장해 검찰은 일단 진위 여부를 가리기 위해 해당 임원들도 조사할 계획이다.
검찰은 이번 조사를 통해 모든 의문과 혐의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근로기준법 위반과 업무상 배임 등 혐의로 전원 사법처리키로 했다.
이번 사건으로 기아차 노조 집행부는 총사퇴를 결의한 상태이지만 비난여론이 워낙 커지고 있어 이번 사건을 계기로 '귀족노조'의 행타와 비리를 낱낱이 캐냐야 한다는 의견이 높다.
이러한 가운데 기아자동차 노조원과 근로자들은 "모두가 깊은 반성을 하고 초심을 지켜야 한다. 17대 집행부는 민중을 기만한 죄로 사표를 쓰고 받은 돈 다 돌려줘야 한다" "광주 뿐 아니라 화성공장에서도 힘있는 조합간부 추천이 있어야 입사가 가능했다", "기아차 노조를 민주노총에서 제명시켜야 한다" 는 등 대다수의 노조원 및 근로자들로부터 따돌림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민주노총에서도 자체 진상조사에 착수했지만 조사결과 여부를 떠나 여론의 향방을 돌리기에는 역부족일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