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한해는 노사정의 ‘일자리 사회협약’ 체결로 근로조건 격차 완화와 임금안정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산이 어느 정도 결실을 거둔 해로 평가됐다.
16일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00명 이상 사업장의 평균 협약 임금인상률(임금총액기준)은 5.2%로 전년보다 1.2%포인트 하락하는 등 200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면서 임금인상 추세가 임금안정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0명 이상 사업장 4곳 중 1곳이 임금을 동결 또는 삭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0명 이상 5909개 사업장 중 임금교섭이 타결된 사업장은 5514개로 93.3%의 타결률을 보여 전년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와 함께 금융권ㆍ언론계 등을 중심으로 임금조정을 통해 중고령자 고용안정을 도모하는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는 기업이 확산되는 등 사회 전체적으로 임금안정 등을 통해 고용창출, 경영난을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증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임금안정 노력과 더불어 개별기업에서는 근로자의 성과ㆍ생산성 등을 평가해 그에 걸맞게 보상하는 성과주의 임금체계가 확산되는 등 기업 경쟁력 제고 노력도 확산되고 있다.
노조 유무별로는 노조가 있는 사업장(4.7%)이 노조가 없는 사업장(5.8%)보다 협약임금인상률이 낮으며 전년동기에 비해서도 하락폭도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외에 100명 이상 사업장 4370개소 중 연봉제는 1829개소(41.9%), 성과배분제는 1259개소(28.8%)가 실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성과주의 임금체계가 확산 추세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의:임금정책과 송민선 사무관 02-503-9723 (praxis1@molab.go.kr)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