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별로는 정보통신, 조선, 가전, 일반기계, 철강 업종은 올해에도 호조세가 지속될 전망이며, 석유화학, 자동차, 반도체 업종은 수출증가율은 둔화되나 생산은 견조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또 중전기 업종은 전년의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반전될 것이나, 시멘트 섬유업종은 지난해에 이어 감소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측됐다.
6일 산업자원부는 최근 11개 주요 업종의 생산·내수·수출입 등 2005년 전망을 해당협회와 단체를 통해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 정보통신·조선·가전·기계·철강 호조세 지속 : 정보통신은 휴대폰 등 주력제품 경쟁력 확보와 디지털방송 확대에 따른 국내외적 제품 수요 확대로 생산(11.2%), 내수(13.5%), 수출(22.6%)에서 모두 두자릿수 성장이 예상된다.
조선은 충분한 수주물량 확보와 기술혁신 및 공법개선 등생산성 향상으로 두자릿수 생산증가(물량기준, 11.8%)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가전은 프리미엄 제품을 중심으로 수출호조세(25.4%)가 지속되는 가운데 내수회복으로 생산도 10.8%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기계는 수출의 지속적인 성장세에 힘입어 전년대비 각각 생산 7.3%, 내수 7.6%, 수출 8.4%의 성장이 예상되며, 철강은 자동차·조선 등 수요산업 호조로 핫코일 후판 등의 수요가 증가하며 각각 생산은 2.4%, 내수 1.6%, 수출 1.3%의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수출 둔화 :반도체는 세계 IT경기 성장둔화 및 작년 활황으로 인한 기술적 반락 등으로 수출증가율이 지난해 35.8%에서올해는 3%로 급락할 것으로 관측됐다.
자동차는 해외생산 본격화와 전년의 수출급증에 따른 기술적 요인으로 수출증가세는 27.8%에서 3.4%로 감소하나, 디젤승용차 및 신차출시, 하반기 이후 내수회복 등에 힘입어 내수가 증가세(4.5%) 반전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석유화학의 경우도 설비증설과 공정개선 및 해외수요 확대로 생산(4.7%)은 유지되나, 수출증가세는 전년의 41.4%에서 12.6%로 둔화될 것으로 나타났다.
▲ 시멘트, 섬유 부진 계속 : 시멘트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건설경기 위축에 따른 내수부진과 저가제품 수입확대로 생산과 내수는 각각 전년대비 5.1% 및 3.6%의 감소세를 지속하나, 수출은 주요국 경기회복과 업계의 수출확대 노력으로 16.7%의 증가세를 시현할 것으로 전망됐다.
섬유는 올해부터 섬유쿼터가 폐지되고 가격경쟁이 격화되면서 수출(-4.1%), 생산(-6.9%), 내수(-4.0%)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가운데, 원화강세와 중저가 의류 수입확대 등의 영향으로 수입은 6.0% 늘어날 것으로 나타났다.
산자부 관계자는 "올해 제조업 경기는 전반적으로 지난해의 호조세를 이어갈 전망"이라며 "지속적인 산업성장을 위해서는 정부는 업계의 당면현안에 적극 대처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 성장 잠재력 확충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