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의 발빠른 인적자원관리와 함께 정부 또한 인적자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력개발과 기술개발을 동일한 모토로 삼고 있다.
정부는 향후 과학기술 개발을 정책의 우선순위로 두면서 국가 연구개발(R&D)사업의 초점을 인력양성과 관리에 맞추기로 정했다.
기술적인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보다 더 우선시 되어야할 것이 바로 사람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칙을 저한 정부는 내년 국가 R&D사업비 가운데 인건비 비중을 대폭 확대하고 연구성과 기술료 중 연구원에게 배려하는 인센티브 비율도 크게 늘릴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러한 결정은 경제 전반에 걸친 핵심인력 해외유출과 체계적인 관리 소홀이 국내 산업전반에 걸쳐 심각한 수준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설비나 장비 등 하드웨어는 이미 어느 정도 구축됐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도 하다.
지난 1일, 산업자원부는 내년도 산업기술개발과 산업기술기반조성 등 R&D사업에 올해보다 3.2% 증가한 총 1조1,000억원을 투입하고, 이중 인건비 비중을 현재 전체 사업비의 23%에서 45% 수준으로 대폭 늘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산자부는 최근 산업기술발전심의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05년도 ‘산업기술개발사업’ 및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 시행계획을 심의 의결했다.
산자부 한 관계자는 “설비나 시험장비 등 하드웨어 구축 중심의 R&D사업을 최고급 엔지니어 양성 등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전환할 방침”이라며 “글로벌 스탠더드 수준의 고급 기술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러한 계획을 위해 산자부는 고급 엔지니어 등이 참여하는 차세대 성장동력, 중기거점사업 등 산업기술개발사업에 올해대비 8.5% 늘어난 7,626억원을 배정했다.
반면 설비ㆍ장비를 구축하는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은 6.7% 줄인 3,395억원으로 책정했다.
한국산업기술평가원 관계자는 “현재 가속화되고 있는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가 시설투자보다 효율적”이라며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고급인력의 육성이 우선이라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