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 심포지엄 자료에 따르면 한국 근로자들은 주된 일자리에서 기업 평균 정년인 56.0세보다 낮은 54.1세 때 퇴직하지만 이후에도 평균 14.0년간 더 일한 뒤 68.1세때 노동시장에서 은퇴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평균 54.4세 때 직장을 그만둔 뒤 평균 12.9년간 다른 일자리를 구해 ‘제2의 근로생애기간’을 보내고 평균 67.3세 때 노동활동을 그만두었다.
여성은 평균 53.8세에 퇴직해 남성보다 빠르지만 제2의 근로생애기간이 평균 14.5년에 달해 노동활동중단 나이가 평균 68.3세로 남성보다 늦었다.
연령대별 퇴직시기는 남성이 50∼54

여성의 연령대별 퇴직시기는 50∼54세가 49.63%로 같은 기간 남성 퇴직률보다 높았으나 △70∼74세 6.0% △75세 이상 2.7% 등으로 70세 이상의 고령 근로자는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에 고용된 임금근로자의 평균 퇴직연령은 52.3세로 자영업자나 고용주 등 비임금근로자의 56.2세보다 4.2세나 빨랐다.
한국노동연구원의 신현구 박사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정년도 못채우고 퇴직하는 것은 나이를 먹을수록 임금은 높아지지만 생산성은 떨어지기 때문”이라며“생산성이 가장 높은 40대 이후 임금을 낮추고 퇴직연령을 늦추는 등 임금체계를 개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