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비즈니스산업 생산성 낮고 저부가가치 산업 문제
서울, 비즈니스산업 생산성 낮고 저부가가치 산업 문제
  • 승인 2004.11.22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정개발연구원 정병순 부연구위원은 22일 연구원에서 열린 `경제거점도시 실현을 위한 서울 비즈니스 서비스업 육성방안`이라는 정책토론회에서 "동북아 경제거점 도시로서의 `비즈니스 서울`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서울시가 집중 육성할 전략적 비즈니스 서비스업을 하루빨리 도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병순 부연구위원 또한 "열악한 투자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비즈니스사업에 대한 법적ㆍ제도적 장치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방안도 제시했다.

정 부연구위원은 "90년대 이후 정보서비스업, 법률ㆍ회계업, 경영컨설팅업, 엔지니어링업, 연구개발업, 광고 및 디자인업 등으로




성된 서비스업이 서울의 핵심산업으로 부상했는데도 `대표군`의 육성 환경은 아직 열악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서울 비즈니스산업은 아직은 생산성이 낮고 저부가가치 중심의 구조며, 특히 중소업체의 혁신역량은 상당히 뒤떨어져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에서의 비즈니스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경영의 애로점으로 `경쟁업체 우후죽순`(16.2%), `경영자금 부족`(14.9%), `우수인력 미흡`(12.6%), `인건비 부담`(9.0%) 순으로 꼽혔다며 시장경쟁 체제유도와 감시감독 강화, 세제 지원, 인력 양성 등이 문제라고 정 부연구위원은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