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제 성과배분제 등 성과주의 임금체계 지속적 증가추세
연봉제 성과배분제 등 성과주의 임금체계 지속적 증가추세
  • 승인 2004.11.02 09: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동부는 최근 종업원 100명이상 기업 4,37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연봉제와 성과배분제 도입업체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연봉제 확산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고 1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4,370개소 중 연봉제는 1,829개소(41.9%), 성과배분제는 1,259개소(28.8%)가 도입․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연봉제나 성과배분제를 실시하지 않는 기업의 35.4%는 연봉제나 성과배분제를 도입할 계획이거나 준비중이어서 성과주의 임금체계가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연봉.성과급제 도입비율은 규모별로는 대기업, 유형별로는 공공부문, 노조유무별로는 노조 미 조직 사업장에서 높게 나타났고, 연봉제의 경우 5000인 이상 대기업의 72.4%, 공공부문의 80.1%, 노조 미 조직 사업장의 50%가 이미 실시 중에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연봉제는 통신업(66.7%)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성과급제는 금융보험업(53.5%)이 높았다. 그러나 연봉제 도입 사업장 가운데 사원이나 관리자에 대해 호봉제를 병행하고 있는 기업이 55.7%에 달해 연봉제 확산에도 불구, 연공에 따른 임금체계가 여전히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노동부는 내년부터 '임금직무혁신센터'을 구성, 성과주의 임금체계 모델 개발, 공정하고 객관적인 성과배분 및 평가기준 제시 등 정보제공, 연구 및 토론회 등을 통한 홍보 등을 통해 산업 현장 내 성과주의 임금체계가 정착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