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은 이날 `물류 서비스산업 선진화를 위한 산업계 의견'이라는 제목의 건의서를 통해 국내 물류 서비스산업이 일자리를 창출하고 동북아 물류중심으로 도약하기 위해 정부차원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건의서는 특히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 물류비는 12%대로 미국ㆍ일본 등의 9%대에 비해 높으며, 기업의 매출액 대비 물류비도 2001년 기준 11.1%에 달한다"고 지적하고 국내 물류 서비스산업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경련은 물류기업에 대한 차별ㆍ제한 철폐와 관련, 창고ㆍ운수업에 적용되는 일반용 전기요금을 산업용 수준으로 전환하고, 우체국 택배와 일반 택배사에 대한 차별적 주ㆍ정차 단속기준 시정을 비롯해 공정한 경쟁환경 조성 등을 건의했다.
또한 인력난 완화를 위해 물류업을 산업기능요

아울러 공항ㆍ도로ㆍ항만ㆍ철도 등 국가기반시설 사용과 관련한 기업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각종 요율체계를 개선하고, 산업단지 내 물류시설 및 제조업간 토지가격 차별을 폐지해 줄 것을 건의했다.
전경련은 이어 금융ㆍ세제 지원과 관련, △사업용 화물자동차의 등록세 및 취득세 경감 △초과근로소득 비과세 대상에 물류업 종사자 포함 △항공관련 물류분야의 관광진흥개발기금 사용 허용 등을 요청했다.
한편, 전경련은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과 투명 경영을 독려하기 위해 `사회공헌대상'과 `투명경영대상'(가칭)을 제정해 운영키로 했다고 이날 밝혔다.
전경련이 독자적으로 상을 제정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경련은 우선 9월중 10명 안팎의 전문가들로 자문단을 구성, 객관적 시상기준을 마련하고 후보기업에 대한 서류심사와 현장실사를 거쳐 수상기업을 선정해 12월초 시상식을 가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