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의 발표에 의하면 기업비밀을 유출시킨 관계자는 퇴직사원이 61.5%(복수응답)로 가장 많았고협력업체 종사자(30.8%), 경쟁업체 종사자(15.4%) 순이었고 유출자가 누구인지 모르는 경우도 15.4%였다.다.
이같은 내용은 24일 산업연구원이 지난해 말 현재 국가연구기관에 1건 이상 연구의뢰를 한 적이 있는 전기ㆍ전자 및 자동차업체 161개사를 상대로 기술유출 현황을 조사한 결과로, 전체의 8.1%인 13개 업체가 기술유출로 손해를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기업비밀의 유출경로는 경쟁업체의 스카우트에

유출을 막기 위해 기업들이 사용하는 보안관리 방법은 패스워드ㆍ디스켓 관리(64.0%)가 가장 많았고 외부인사 출입제한(59.6%), 거래업체와 비밀유지 계약(58.4%), 서랍 사무실 잠금장치 설치(57%), 입사시 비밀엄수 서약(57.1%) 등으로나타났다.
그러나 CCTV, 침입방지시스템 설치, 정보보안업체에 아웃소싱, 보안담당부서 구성 등 적극적인 보안관리를 실시하는 업체는 30% 미만에 불과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