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한국노동연구원이 은행회관에서 개최한 '올해 임.단협 주요 쟁점과 과제 토론회'에서 연구원 김승택 연
구위원은 최근 기업 인사.노무관리자 1515명과 노조대표 88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노사협상에서 반
드시 관철시킬 항목 1순위로 관리자는 '연월차 휴가 조정'(41.3%), 노조대표는 '임금 보전'(45.6%) 을 꼽았
다고 밝혔다.
또한 사측이 내세우는 카드는 '임금 하향조정'(14.3%)과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른 단체협약 등 개
편'(13.9%) 등을, 노조대표는 '현행 연월차 휴가 유지'(28.5%)와 '기존 단체협약 및 취업규칙 유지'(7.3%)
등의 순으로 꼽았다.
7월부터 법정근로시간이 단계적으로 단축되는 데 따라 시급한 변화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도

은 '연월차 및 기타 휴일 조정'(27.7%)과 '업무 집중 도 및 생산성 제고'(27.0%), 노조대표는 '임금수준 및
체계 개편'(39.4%)과 ' 연월차 및 기타 휴일 조정'(23.2%) 등의 순으로 들었다.
김 연구위원은 "임금보전과 휴가조정을 상호 수용한 뒤 그 외의 사안을 조정하 는 식의 협상이 갈등을 피
할 수 있는 교섭방향"이라며 "또 임금을 보전하되 기업의 임금 또는 노동비용이 급상승하면 생산능력이 축
소되고 고용조정 가능성이 커지는만큼 단기적으로 임금상승률을 둔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해법으로는 외환위기 이래 비정규직이 확산되고 대기업의 일자리는 줄어들었으며, 고용형태와 기
업규모간 임금격차가 심화되어 왔고 고임 부문의 임금인상은 자제하되 저임 부문은 인상률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