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대중공업노조와 결별 파장, 노동운동 변화에 영향 미칠 듯
국내 대기업 정규직 노조의 대표인 현대중공업노조와 상급단체인 민주노총이 결별 절차를 밟고 있다. 최근 민주노총 금속연맹은 현대중공업노조를 제명하기로 결정한 있고 이에 대해 현중노조도 독자노선을
걷겠다고 대립각을 세웠다.
이러한 변화에 대해 노동전문가들은 "현재 사회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비정규직노조로 민주노총의 운
동방향이 바뀌는 하나의 과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대기업 노조를 기반으로 노동운동을 펼쳤던 민주노총이 비정규직 노조와 중소업체 중심
으로 노동운동으로 변화시켜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는 비정규직 처우개선에 대한 요구의 팽창과 함께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노노갈등이 어느때보다 심각
하게 드러났다.
현중노조와 민노총과의 현재 사태는 지난 2월 사내 비정규 근로자인 박일수씨가 '비정규직의 보장'에 대한
명분으로 분신자살을 하면서 부터이다.
분신 이후 민주노총 금속연맹과 사내 비정규노조는 분신대책위를 구성,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투쟁을 확대
해 나갔다.
하지만 민노총이 믿었던 현중노조는 "분신사태가 정치적으로 악용되고 있다"며 "현중 노조를 배제 한 어떤
협의도 용납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2월과 3월분 연맹비 약 1억원의 납부를 거부하게 되었다.
그러자 민노총 금속산 업연맹은 현중노조의 제명결의로 갈등은 증폭되었다.
민주노총은 현중노조와의 갈등과 같이 대기업 노조 중심의 노동운동에서 탈피하지 못할 경우 노동운동의
선명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판단아래 최대 이슈인 비정규 처우개선을 위해 현중 노조의 제명은 불가피
한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올해 정규직과 비정규직간의 노노 갈등이 새로운 노동운동의 변화를 낳을 것으로 보인다.
재계는 박일수씨 분신사태를 도화선으로 민노총의 지원아래 대기업 사업장내 비정규 하청근로자들의 세
력화 본격화되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