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원장 서병문)은 연세대 도시.교통과학연구소에 의뢰,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파
급효과를 분석한 보고서를 24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2000년 기준. 일정기간 국민경제내에서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 및 처분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를 기록한 종합통계표)를 기반으로 출판과 신문, 공연, 영화, 방송, 광고, 오락
서비스 등 7개 부문의 문화콘텐츠산업이 우리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파악한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문화콘텐츠산업의 생산유발계수(2.10580)는 제조업(1.96409)이나 서비스업(1.67503)보다
높을 뿐아니라 경제전체에 미치는 영향력계수(1.13433)도 제조업(1.05799), 서비스업(0.90228)에 비해 월등
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가치유발계수도 0.84312로 전체 산업평균(0.75383)보다 높게

특히 고용과 관련된 지표에서 문화콘텐츠산업의 기여도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콘텐츠산업의 고용유발계수는 10억원 투입당 15.9명으로, 서비스업(14.9명), 제조업(9.4명), 농림수산
업(7.5명) 등 다른 산업보다 우위를 보였다.
취업유발계수도 10억원 투입당 24.0명으로 농림수산업(67.6명)에 이어 두번째를 차지했다.
이와 함께 문화콘텐츠산업은 지식기반제조업이나 사업서비스업(소프트웨어 포함) 및 IT서비스업에 비해
생산유발효과가 높을 뿐더러 지역경제의 균형발전에도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문화콘텐츠진흥원 정책개발팀 정미경 과장은 "이번 연구결과는 온라인게임과 멀티미디어, 디지털콘텐츠
등 최근 각광받고 있는 첨단 문화콘텐츠 부문을 조사대상에서 제외한데다 무형의 브랜드가치 제고효과도
반영하지 않은 점을 감안할 때 실제 문화콘텐츠산업이 우리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훨씬 더 클 것"이라
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