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파견 근로자 정규직 아닌, 완전도급 전환에 노조 강력 반발
금호타이어가 노동청으로 부터 적발된 불법파견근로자를 노동청 요구한 정규직 전환이 아닌 도급으로 전환하겠다고만 밝혀 논란이 되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광주지방노동청으로부터 "광주공장의 위장도급에 따른 불법파견 근로 여건을 개선하라는 행
정 지시를 받은 바 있다.
광주지방노동청은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2년 이상 근무한 불법파견 근로자를 14일까지 불법 파견 근
로 여건을 개선하라"는 행정 지시를 보냈으나 " 금호타이어 측이 이에 대해 조처하지 않고 시정 계획서만
을 보낸 것이 타당한지를 실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실제 금호타이어는 지난달 14일 노동청에 보낸 답변서를 통해 정규 생산공정에 위장 도급업체 근로자를 투
입하 지 않고 완전 도급 체제로 전환하겠다고 밝혔을 뿐, 파견 근로자를 정규직으로 직접 채용하겠다는 계
획을 전혀 언급하지 않았었다.
금호타이어의 입장에 대해 광주지방노동청은 “파견근로자 보호법에는 적법한 절차에 따라 투입된 파견 근
로자들이 근무 기간 이 2년 이상 지날 경우 해당 사업장 근로자로 보게 돼 있다”며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의 경우 위장 도급업체 의 파견 근로자들이어서 정규직으로 채용하지 않더라도 제재할 방법이 없다”고 밝
힌 바 있다.
이러한 금호타이어와 노동청의 입장에 대해 비정규노조의 입장은 강경하다.
금호타이어 비정규직 노조는 이와 관련해 최근 정규직 노조에 교섭권을 위임해 금호타이어와 두차례 실무
협상을 열 었지만, 결국 교섭이 결렬됐다.
비정규직 측은 “지난 1월 노동청이 시정 지시를 내리기 전과 상황이 전혀 달라 진 것이 없다”고 말했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정규직 노조는 금호타이어가 노동청에 보낸 시정 계획서에 완전 도급제 실시만 언급
한 것 은 파견 근로자를 직접 고용할 뜻이 없다는 것으로 보고 완전 도급제 실시에 반대하며, 파견 근로자
를 직접 고용하지 않을 경우 민주노총 차원에서 강력히 대응할 계획이다.
노조의 이러한 강경입장에 대해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은 이번에 관련된 파견 근로자 118명을 해고하지 않
고 그동안 정규직 과 도급사 직원이 섞여 일하던 직무에 도급사 직원만을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