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KDI) 7일 이날 발표한 2월 경제 동향 보고서에서 수출 급증세 지속에 힘입어 최근경기 관
련 지표들이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와 고용이 회복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민간 소비도 다소 개선되는 모습이나 설비투자는 여전히 침체돼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지난 1월에는 조업일수 감소를 감안할 때 산업생산과 출하가 상승세를지속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
고 경기 동행지수와 선행지수도 개선되고 있으며 경기 회복이 진행됨에 따라 작년에 크게 부진했던 고용
상황도 제조업과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나아지고 있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지난 1월의 경제활동인구와 취업자 수 증가율이 각각 2.0%와 1.7%로작년 같은 달의 0.7%와 0.2%
에 비해 크게 확대됐으며 실업률은 계절적 요인으로 전달(3.6%)보다 소폭 상승한 3.7%를 기록했으나 계절
조정 실업률은 전달(3.5%)에 이어3.3%로 하락해 고용 상황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고

보고서는 경기 회복이 급증하고 있는 수출 호조에 크게 힘입은 것으로 이에 따라 침체됐던 민간 소비도 부
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지난 2~3년간 급증했던 건설투자는 둔화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크게 침체된 설비투자는 여
전히 호전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수출 급증과 내수 회복의 지체로 대규모 무역수지 흑자 추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세계 경기 회복
과 달러화 약세에 따른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이 국내 물가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작년 하반기 이후 급증하기 시작한 무역수지 흑자는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에따른 수입 확대에도 불구하
고 지난달에도 20억5천100만달러를 기록하며 6개월 연속20억달러가 넘는 대규모 흑자 추세를 보이고 있다
고 보고서는 밝혔다.
보고서는 달러화 약세 추세 하에서 원화 가치가 달러화에 주로 연동돼 변동함에따라 달러화 표시 국제 원
자재 가격의 상승이 국내 물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