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임단협에서 정규직 임금의 일부를 떼어내 비정규직을 위해 사용하
는 `노사 공동기금" 조성을 추진키로 해 그 결과가 주목된다.
27일 노동계에 따르면 민주노총은 최근 중앙집행위 회의를 열고 올해 임
단협에서 비정규직 노사 공동기금 조성을 산별.업종별 교섭에 포함시키
기로 방침을 정했다.
민주노총은 다음달 초 중앙위원회에서 이 방침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올해 임단협에서 처음 시도되는 공동기금은 노조가 임금 인상분 가운데
일정 비율을 떼어 적립하고, 사용자측에서도 갹출하는 식으로 조성되며
비정규직 복지나 직업훈련 등에 사용된다.
민주노총 이상학 정책실장은 "정규직 노동자들이 상대적으로 임금을 많
이 받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 임금의 일부를 떼어내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위해 사용하겠다는 취지로 공동기금 조성 방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이와 함께 다음달 중 산하 공공부문 노조가 참여하는 공공부
문 비정규직 대책회의(가칭)를 꾸려 총선 전 공공부문 사업장의 비정규
직 차별 해소를 위한 자체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민주노총은 올해 공공부문 임단협에서 부문별로 비정규직과 관련된 공동
의 단체협약을 내걸고, 정규직 노조가 이를 적극적으로 사측과 협상한다
는 방침이다.
협상 내용에는 비정규직 노조활동 보장, 상시업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이 포함돼 있다.
이에 앞서 민주노총은 제조업분야에서도 원.하청 업체 노조가 공동 임단
협을 실시키로 방침을 정해, 올해 임단협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연
대 움직임이 강화될 전망이다.
그러나 대규모 사업장이 가입해 있는 민주노총이 산별 교섭을 통해 비정
규직 임단협을 주도할 경우 사측의 적지 않은 반발도 예상된다.
민주노총 주진우 비정규실장은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개선 대책이
제대로 가게 하기 위한 공동 활동"이라며 "정규직 노조가 임단협에서 사
용자측에 비정규직 문제를 적극 제기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