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은 자타가 인정하는 브랜드전문가. 이대 숙대 등에서 강의도 하
는 그는 브랜드도 나이를 먹는다고 얘기한다. 관리하지 않으면 금세
피부가 까칠까칠해지듯이 브랜드도 내팽개치면 망가진다는 것이 그의
지론.
전통의 강자 미원을 꺾은 조미료 미풍이 대표적인 사례다. 미풍에서
다시다로 이미지를 변신하는 데 성공했지만 20대 시절 모델(김혜자)
을 60대가 다 되도록 계속 노출시킨 바람에 마치 중년 이상의 주부층
이 사용하는 조미료로 젊은 층에게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번 구축된 브랜드는 분명히 힘이 있습니다. 그러나 자라나는 새
로운 소비자층에게 매력을 줄 수 없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늙은 브
랜드가 되고 말죠.”
경제발전에 따른 시장의 성숙도 브랜드 중요성을 한층 높여주는 요인
이다. 예전과는 달리 품질과 성능, 가격면에서 제품간에 별다른 차이
가 없기 때문에 브랜드 파워가 곧 구매력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고 그는 설명한다. 예컨대‘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다’는 카피로
유명한 ‘스피드011’은 016 017 018 019 등과 비교해 실제로는 통
화성공율이 비슷한 데도 모두들 잘 터진다고 인식한다. 이는 사업초
기 경쟁사들이 제대로 통신인프라를 갖추지 못한 시절 선발업체의 이
점을 살려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를 심어놓았기 때문. 안전한 차하면
바로 볼보를 떠올리는 것과 마찬가지 원리다.
“상당수 국내기업들은 브랜드를 식별부호 정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
습니다. 따라서 하나의 브랜드를 체계적으로 관리 발전시키려는 생각
이 부족하죠. 그러나 세계시장을 겨냥하는 기업이라면 강한 브랜드
파워는 필수입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