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 전략 수립 실패, 성공 사례
연구개발 전략 수립 실패, 성공 사례
  • 승인 2000.12.21 12: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A 기업은 국내 유수의 제조회사로써 동종업계 내에서도 세계적으
로 약 50대 기업안에 드는 기업이다.

A기업은 급변하는 시장 환경속에서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혁신적인
연구개발전략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A기업은 그러나 전사적인
측면의 사업전략과의 정합성을 유지하는 연구개발 전략 수립에는 한계
가 있다고 보았으며 연구개발비 및 연구원의 활용도도 낮다고 판단했
다.

조직내 이슈측면에서 A 기업의 연구소는 매출중심의 연구소 문화가 짙
게 베어 있어서 기초과학 분야 연구원들은 상대적으로 응용과학 연구
원들에 비해 피해의식을 느끼고 있었으며 이 때문에 파벌도 형성되고
있었다.

`매출중심의 연구개발"로 인해 연구원의 사기저하, 피해의식, 기초연
구 기피 등의 다양한 부작용이 야기되고 있었던 셈이다. A기업의 연
구개발 전략 재수립을 위해 먼저 시장의 변화에 따른 시나리오 분석
을 실시한 후 성장 동인을 파악했으며 이후 A기업의 현재상황에 근거


제품별로 기술 분해 작업(Technology Unbundling)을 실시했다.

이 과정을 통해 A 기업은 기술전략을 새롭게 수립했으며 기술전략에기
초해 A기업은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중요성과 긴급성에 기초
해 선정된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우선순위화함으로써 연구개발비 및 연
구원을 배치했다.

또 조직내 이슈인 `매출위주의 연구개발"은 자칫하면 단기적인 성과위
주의 연구개발을 초래하게 돼 미래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어려울 뿐 아
니라 연구원간의 위화감조성이라는 부작용을 야기시키고 있어 이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조직구조 및 운영 프로세스를 재설계하고 성과체제
를 개선했다.

국내 벤처기업인 B기업은 두가지 제품에 대한 연구개발을 주축으로
해 새롭게 법인을 설립했다. B기업의 경우 연구개발자 중심의 연구개
발 활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연구개발 자체에만 집중화해 이를 상품화하
고 어떻게 시장에 내놓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다.

단순히 시장이 형성되고 제품이 팔릴것 같다는 정도의 시각으로는 결
코 성공할 수 없다. 시장의 매력성·타겟시장(Target market) 및 리스
크에 대한 철저한 분석에 기초해 제품의 특성 및 고객의 기대 만족도
를 파악해가며 이에 기초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하는데 B기업은
시장에 근거한 연구개발,그리고 이에 기초한 제품의 시장출시 프로세
스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지지 못했다.

연구개발 세대 구분으로 보면 1세대에 그치고 마는 우를 범하고 만것
이다. 벤처기업인 C기업은 제품의 상용화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 관련 제품 시장에서는 수요가 증대해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C기
업은 연구소측에서 결함이 없는 제품을 출시하겠다고 주장해 상용화
에 대해서는 요원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타사 제품이 출시되기 사작했으며 시장을 잠식해가기
시작했다. 물론 타사제품이 결함이 없는 완벽한 제품은 아니었다. 하
지만 시장의 수요는 완벽함 그 자체를 요구하고 있지는 않았다. C기
업은 결국 제품이 출시되기도 전에 제품의 사양화를 맞게 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