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의 경우 주거위주의 신도시가 아닌 지식집약산업을 지원할 수 있는
첨단 연구단지로 개발할 것으로 강력히 주장했다.
경기도는 신도시 추가개발계획에 대한 입장을 담은 보도자료를 통해
분당이나 일산과 같은 베드타운을 건설하기 위한 신도시 개발안에
는 원천적으로 동의할수 없다고 밝혔다.
도는 "신도시 개발은 도로와 학교 등 기반시설 확충계획을 사전에 마
련하고 경기도와 사전협의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며 "분당과 일산
도 아직까지 기반시설이 충족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분별한 추가개발에
는 동의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행정부의 한 관계자는 "가장 큰 문제인 교통체증은 국가경제적으로 엄
청난 사회적 비용을 불러일으켰다"며 "도로망확충을 소홀히 한채 분
당-수지-죽전으로 이어지는 신도시를 건설해 결국 난개발을 초래했
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초미의 관심이 되고 있는 판교의 경우 택지개발을 할 것이
아니라 친환경적인 벤처단지로 개발할 것을 분명히 했다.
도는 택지개발사업으로 판교를 개발할 경우 자족기능 확충을 위한 도
시형 공장이나 벤처기업 집적시설이 들어설 용지는 지구 면적의 3%안
에서만 확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주택건설용지의 60% 이상은 아파트를 짓고 주거밀도가 낮은 연립·
단독주택은 20% 이하만 건축토록 하고 있어 건교부가 밝힌 저밀도개발
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