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교육, 삼성전자를 따라 잡아라"
"인재교육, 삼성전자를 따라 잡아라"
  • 승인 2000.12.21 12: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력육성 교육을 배우려면 삼성전자를 잡아라" 최근 기업들에 "삼성
전자 배우기" 열풍이 불고 있다. 이는 최근 삼성전자가 세계적인 권위
를 가지고 있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 Electronics
Enginers 전기전자공학회)에서 시상하는 교육부문 최우수기업 대상을
수상한데 따른 것이다.

이상은 기업교육부문의 노벨상으로 불릴 정도로 명성이 높은 상으로
삼성전자는 아시아권에서는 최초의 수상기업이다. "디지털시대를 선도
할 삼성전자의 인력육성체계"를 2회에 걸쳐 소개한다. <편집자 주>

삼성전자는 IMF이전부터 디지털시대에 대비한 착실한 혁신활동을 전개
해왔으나 그렇게 뛰어난 실적을보여주지 못했다.
즉 과거의 강력한 리더십에 의한 사업전개, 비용적 효율성을 강조한
체계적인 관리 및 통제력 그리고 대량생산 및 균질한 인력의 애사심
에 의한 발전관행을 쉽게 깨지 못했다.

그러나 97년에 들어 경영혁신의 속도는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여 98년
도에는 획기적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는 회사의 전체적인 노력의
결과였으나 그 중심에는 교육부서의 역할이 매우 크게 작용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생존을 위한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Lewin의 변화
모델에 입각한 새로운 변화 프로세스를 추진하게 되었다.

그 첫째가 ‘점과 선의 응용’으로 표현되는 해빙의 단계이다. 이 단
계에서는 생존을 위한 강력한 구조조정과 총체적인 경영혁신 활동이
실시됐다.

주요추진 요소는 Product, Process, Personnel부문의 3P혁신활동이었
다. Product 혁신은 제품 구조조정을 통한 핵심역량 재구축활동이고,
Process 혁신은 전사차원의 리드타임 단축과 재무구조 건실화, 자금흐
름의 개선에 초점이 맞춰졌다. Personnel 혁신은 경영혁신활동의 성공
적인 수행과 ‘기술중심, 마케팅중심’의 21세기형 선진기업으로의 변
혁을 위해 ‘변화주도, 고객지향, 기술중시’의 3대 의식개혁과제를
수행했다.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전사의 교육조직을 재구성하여 ‘인재개
발연구소‘를 설립했다. 그 산하에는 연구개발 중심의 기술교육 고객
지향 사고정착을 위한 마케팅교육, 조직의 혁신을 수행 전파하는 리더
십교육을 담당하는 3개의 연구소를 조직하여 실질적인 의식개혁활동
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HRD부서와 HRM부서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인력의 효율적인 육성
과 평가를 가능토록 했다. 이러한 총체적인 혁신노력을 통해 IMF하에
서도 삼성전자는 획기적인 발전을 달성할 수 있었고 디지털 시대를 선
도할 사업구조를 갖출수 있었다.

둘째는 ‘면의 경영’인 조직화의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삼성전자는
핵심사업 영역인 3S 사업력의 확보와 글로벌 최적사업체제의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기술융합과 시장발전을 주도하는 21세기 초우량
기업’이라는 중장기 비전을 설정하고 새로운 가치창조를 위해 노력하
고 있다. 즉 기술과 마케팅 역량을 갖춘 핵심인력의 양성을 통하여 신
규사업 기회를 창출하고 Brand Equity 향상, 효율 극대화를 통해 가
치 창조능력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셋째는 ‘입체경영’의 단계이다. 21세기의 디지털 시대
를 주도할 수 있는 마케팅 역량과 기술을 확보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획득하는 것이다. 전 단계의 활동을 바탕으로 디지털 융합시장에서의
주도적인 위치를 확보하여 세계디지털시장의 발전을 주도하는 초국적
기업으로의 발전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교육조직은 전문 기술인력을 육성하는 첨단기술센타와 마케팅인력을
육성하는 글로벌마케팅연구소 그리고 변화를 주도, 전파하는 리더십개
발센타의 전사적 기능학습센터와 각 사업단위의 현장에서 필요 직
무, 직능교육을 실시하는 사업장별 교육부서로 구성되어 있다.

2000.01.15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