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랜드, 기업 지식가치도 자산으로 환산가능
이랜드, 기업 지식가치도 자산으로 환산가능
  • 승인 2000.12.21 12: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형 자산보다 3배많은 5,200억원 규모
-외부,내부,직원역량 BSC로 측정관리


이랜드는 회사의 무형자산인 지식자산을 체계적 측정 시스템에 의해
값으로 계산한 소위 지식자산표를 국내기업 최초로 작성했다고 밝혔
다.

지식자산표에 따르면 이랜드의 지식자산의 규모는 99년 말 총 5,243억
원으로 재무제표상의 유형자산(1,762억원) 보다 약 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자산이란 Intangible Assets 혹은 Knowledge Assets라고 하는데
회사가 기업회계원칙에 의거하여 매 회계년도 마다 작성하는 유형의
자산에 대한 재무제표에는 표시되지 않는 무형의 자산을 칭한다.

지식자산표의 데이타는 98년초 이랜드에서 국내 최초로 구축하여 사용
중인 BSC (Balan ced Scorecard, 균형잡힌 성과기록표) 측정표를 기준
으로 작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랜드는 지식자산을 외부역량(고객, 매장, 거래처), 내부역량, 직원
역량으로 분류했다.

지식자산표 작성에 사용된 측정도구인 BSC (Bala nced Scorec ard, 균
형잡힌 성과기록표)는 92년 미 하바드 경영대학원의 Robert Kaplan교
수와 컨설턴트인 David Norton에 의해 최초로 제시된 재무적, 비재무
적 지표간의 균형잡힌 성과 평가시스템으로써 무형자산의 측정과 관리
를 위한 경영관리 도구이다.

현재 미국과 유럽의 많은 기업들이 도입을 하고 있으며, 포천지 1,000
대 기업 중 45%가 이미 도입했거나 도입 중이다.

이랜드의 경우, 98년 9월 BSC 구축을 시작해 99년 1월부터 가동에 들
어갔으며, 현재 전 사업부의 경영성과 및 팀, 개인의 성과를 BSC를 통
해 매월 평가하고 있다.

즉, 지난 1년간의 BSC측정결과를 통해 이번에 지식자산표가 탄생한 것
이다.

기존의 재무제표는 과거에 근거한 지표인 반면, 기업이 보유하고 있
는 무형자산을 측정한 지식자산표는 해당 기업의 미래를 보여주는 선
행지표가 될 전망이다. 예를 들어, 고객의 인지도 선호도 등은 수개
월 후에 나타날 매출을 예측하게 해주며, 회사가 신기술 도입이나 지
식개발을 위해 투자하는 예산은 1~2년 후 회사의 모습을 전망할 수 있
게 해준다.

또한 직원 자신의 성과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 직원들이 회사
에 어떻게 기여해야 하는지를 알게 해주고 회사는 직원들에 대한 정
확한 평가로 성과에 따른 합리적인 차 등보상을 할 수 있게 됐다.

예를 들어 이랜드는 패션의류회사의 핵심 인력인 디자이너들에 대해
그동안 상·중·하 등 정성적인 평가를 시행해 왔는데, BSC 운용을 통
해 정양적 평가가 가능해져, 정상판매율 등의 측정지표에 근거한 개
인성과 측정시스템을 통해 성과를 측정한 결과, 기여이익부분에서 최
상위자(37억 6,300만원)와 최하위자(800만원)의 격차가 470배로 나 타
났다.

생산관리 및 구매분야 직원 또한 생산성이 100배가 차이났다. 납기
나 생산원가 등과 같은 측정지표를 통해 1백만원 ~ 1억원의 기여이
익 격차가 나타났으며 실제 최상위직원의 경우, 시장가격 기준(아웃
소싱 했을 경우)으로 본다면, 4억원 상당의 이익을 창출하는 가치(지
식)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BSC 측정 결과를 통해 이랜드는 지난해 말, 사업부간, 개인
간의 성과차이에따라 99년도 성과급을 0~2,000% 까지 차등 지급하기
도 했다.

이랜드의 지식자산표 측정 결과를 요약한다.

▲ 외부 역량
고객의 경우,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 선호도, 이용도 등 시장경쟁력
측면과 고객만족도, 향후 구입 희망율 등 고객충성도 측면에서 측정되
었다. 그 결과, 이랜드, 브렌따노, 언더우드, 헌트 등 4개 브랜드의
경우, 보조인지도에서 모두 97 ~ 100%로 나타나 캐주얼 시장의 선도
적 우위를 보여주었고, 기존 고객 중 50% 이상이 다시 매장을 찾고 있
어 높은 고객 충성도를 보여 주고 있다.

매장의 경우, 월평균 기여이익과 회전율, 상권의 질, 서비스점수 측면
에서 측정되어 높은 생산성 향상을 나타냈는데 특히 매장회전율의 경
우, 전년대비 무려 2.5배의 증가를 보였다.

거래처의 경우, 생산성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인 봉제 공장들의 가동율
이 평균 85%에 달해 동종 업계 평균 가동율 60~70%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우수 거래업체를 보유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었
다.

▲ 내부 역량
지식자산을 증대시키기 위한 정보기술 분야 투자의 경우, 매출액 기준
으로 전년대비 41% 증가하였으며, 99년 초 회사내부에 지식관리시스템
을 본격 가동함으로써그동안 정리 수준에 머물렀던 디자인관련 지식들
이 Digital Data로 저장되는 등 현재 총1,000여 개의 지식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정상 판매율이 전년대비 약 10% 신장하는 등 고객 대응력
이 크게 향상되었고 제조 리드타임은 150일에서 무려 1/3 수준인 50일
로 대폭 단축됨으로써 현금 유동성에 크게 기여했다.

▲직원 역량
작년부터 개인성과 조회시스템을 구축하여 직원 개개인이 자신의 성과
를 항상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개인별 지식인증 시스템을 통
해 지식의 축적 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직원의 평균연령은 30.7세(98년 31.0세)이며, 이중 디자이너의 평균연
령은 28.7세(98년 28.5세)로 나타나 주요고객의 연령대에 적합한 디자
이너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인력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인 핵심인력부가가치의 경우, -69
만원에서 1,315만원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핵심인력 근무연수는 7.2년
에서 7.8년으로 증가하였다.

2000.03.3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