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데 성분강화 기능성 우유가 90% 이상을 차지한다. 성분강화 기능성
우유로는 DHA우유, 칼슘우유, 비타민우유가 있다.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칼슘섭취가 가장 중요하다는 인식
이 확산되면서 40∼50대 주부는 물론 20∼30대 젊은 여성도 칼슘 섭취
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중에 판매되는 칼
슘 제재는 가격이 비싸고 약이라는 부담감 때문에 소비자가 먹기를 꺼
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매일유업은 이 점에 착안해 `가볍게 마시면서 칼슘을 섭취하고 골다공
증을 예방하는 분유"라는 개점으로 97년 12월 `뼈로가는 칼슘분유"의
통신판매를 시작한 데 이어 주문량이 늘어나자 98년 6월부터 시판에
들어갔다.
`뼈로가는 칼슘분유"는 틈새시장을 겨냥한 아이디어 상품으로 폭발적
인 인기를 끌어 일 평균 6∼7만팩 팔렸으며 2000년 11월 현재 월평균
10만팩 이상 판매돼 월 평균 5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뼈로가는 칼슘분유"의 성공적인 시장 진입을 계기로 매일유업은 99
년 11월 `뼈로가는칼슘우유"와 `뼈로가는 칼슘치즈"를 출시하고 `뼈로
가는칼슘" 브랜드을 광고와 판촉 등을 통해 널리 알렸다. 뼈로가는 칼
슘우유는 출시 4개월만인 올 3월 일 평균 30만개 이상 판매돼 월 매출
25억원을 달성했고 `뼈로가는 칼슘치즈"는 월 70톤이 팔려 월 매출 10
억원을 올리는 성과를 보였다.
매일유업의 뼈로가는 칼슘우유는 칼슘을 일반 우유의 2배이상 강화한
것이 특징. 칼슘 함량 100㎖ 당 206㎎으로 우리나라 칼슘강화우유 가
운데 칼슘함량이 가장 많다. 특히 하루 한팩(340㎖)으로 1일 칼슘권장
량(700㎎)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고 칼슘 흡수를 돕는 비타민D3, 비타
민B1, 엽산 등 각종 영양성분이 들어있다.
뼈로가는칼슘우유는 브랜드 이름에 제품의 기능을 직접 표현했으며,분
유와 우유, 치즈, 요구르트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출시해 `뼈로가
는칼슘"이라는 통합 브랜드를 채택해 인지도 상승과 시너지 효과를 극
대화했다.
= 개발주역/김석락 소장 =
칼슘 강화우유 개발을 위해 매일유업 중앙연구소는 우리나라 국민들
의 칼슘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제품 설계에 반영했다. 칼슘은 우
리나라 사람의 식습관에서 가장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로 알려져 있
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1일 칼슘 권장량은 20세 성인남녀를 기준으로
700㎎. 그러나 국민 1일 1인당 평균 칼슘섭취량은 531㎎으로서 권장량
의 75%만을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식품별 칼슘섭취량도
체내 이용율이 가장 낮은 야채, 두류, 곡류, 해조류 등 식물성 식품으
로부터 칼슘을 주로 섭취하고(60%) 칼슘 체내 이용율이 제일 높은 우
유 등 유제품으로부터 칼슘섭취는(10.1%)로 미약했다.
이러한 우리나라 국민들의 칼슘 일 섭취량과 칼슘 공급원의 실태에 착
안해 칼슘 함량이 일반 우유보다 2배 이상 강화된 뼈로가는칼슘우유
를 개발하게 됐다. 뼈로가는칼슘우유는 국내 시판중인 칼슘제품 가운
데 칼슘 함량이 가장 많다. 기존 칼슘강화 우유보다 1.4∼1.6배에 달
하는 206㎎이다.
또 다른 칼슘 우유가 탈지분유나 혼합분유를 혼합해 신선한 우유 맛
을 느낄 수 없는 데 비해 뼈로가는칼슘우유는 맛도 일반우유와 똑같
이 신선한 맛을 느낄 수 있고 성장기 어린이와 여성들에게 아주 중요
한 영양성분인 철분과 비타민B1, D3, 엽산을 강화했다.
뼈로가는 칼슘우유가 탄생하기까지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했다.
칼슘을 다량 함유하게 될 경우 칼슘이 침전돼 음용시 이물질이 들어
간 느낌과 침전물이 생기기 때문에 이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집중
적으로 진행됐다.
많은 시제품 개발과 칼슘 원재료 시장조사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칼
슘 함량을 다른 우유에 비해 2배 이상 강화해도 침전과 맛에서 문제
가 없는 칼슘제를 입수해 `뼈로가는칼슘우유"를 탄생시켰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