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를 제공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KPMG는 6일(현지시간) 미국 기업개
혁법을 탓하며 전세계 60여개국서 법무법인들과의 연대를 끊고 법률서
비스를 제공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잇단 회계스캔들 이후 지난해 만들어진 미국 사바네즈-옥슬리법은 회
계법인들이 감사대상 고객에게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KPMG는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딜로이트투시, 언스트앤영
(E&Y)를 포함한 이른바 “빅4” 회계법인중 처음으로 법률서비스 중단
을 선언했다. 다른 법인들 중에는 딜로이트가 규제환경의 변화로 중
단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고 PwC는 규제를 하고 있는 몇 개 국
가에서 서비스를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KPMG의 마이크 레이크 글로벌회장은 KPMG가 감사, 세무 및 자문서비스
를 계속해서 제공할 것이지만 법률서비스는 규제환경 변화로 인해 다
른 접근이 요구됐다고 밝혔다. 레이크 회장은 “우리는 계속해서 회계
업계와 자본시장에 대한 공공의 신뢰를 회복하는데 앞장설 것”이라
고 강조했다.
회계법인들은 지난 90년대 회계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서비스를 추가하
면서 “전문서비스법인”으로 거듭났다. 그러나 2000년 이후 각국 정
부 및 규제당국들이 법인내 이해상충의 문제를 우려하면서 언스트앤
영, KPMG, PwC 등이 주요 컨설팅서비스를 분사했다.
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등은 회계법인들이 감사대상고객에게 법
률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면 감사에 독립성이 훼손될 수 있다고 밝혀 왔
다. SEC의 규정은 미국 기업들뿐 아니라 미국 증시에 주식을 상장한
외국기업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KPMG가 해당 외국기업의 본
국에서 감사활동을 할 때도 제약을 받게 된다. SEC의 통제권 밖에 있
는 기업들일지라도 회계법인에서 법률서비스를 받는 것에 대해 점점
껄끄러워 하고 있다.
KPMG의 글로벌 법률서비스네트워크인 K리걸 인터내셔널의 로버트 글레
니 최고경영자(CEO)는 규제환경이 바뀌었기 때문에 제휴를 포기하는
것 말고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K리걸 소속 법무법인들
은 독립 그룹을 새로 만들어 기존 고객들에게 계속 서비스를 할 것인
지를 논의하고 있다. 약 3만명으로 구성된 새 그룹이 내년초 탄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K리걸이라는 이름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