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밀레니엄시대을 주도할 "바이오 혁명"이다.
문자혁명이나 산업혁명은 물론 인터넷혁명에 못지않을 만큼 그 위력
은 대단하다.
의약업계는 물론이고 화학업계 농약업계 환경업계 가전업계 컴퓨터업
계등도 바이오산업에 눈을 돌리고 있다.
이제 모든 기업들은 바이오 기업으로 불러지길 바라고 있다.
선진각국은 이 혁명에 뒤질세라 정부와 업계 학계가 똘똘 뭉쳐 연구
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게놈지도의 완성은 우선 의약산업에 직접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각종 질병의 원인 유전자를 쉽게 찾을 수 있어 치료효과가 높은 신약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게놈지도 이용으로 알츠하이머 암등 각종 난치병의 치료약등도 기대된
다.
질병검사등도 한층 쉬워진다.
의약품의 절반이 게놈정보를 활용하게 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이에따라 제약업계들은 지도가 1백% 완성되기도 전에 게놈정보를 응용
하는데 온 신경을 쓰고있다.
2009년까지 게놈정보를 활용한 신약개발로 약 4백50억달러의 이익이
제약업계에 돌아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독일은 게놈지도 완성소식이 나오자마자 3년간 8억7천만 마르크(약 5
조2천억원)를 투자하는 유전자 산업발전계획을 발표했다.
일본은 다케다 야마노우치등 40여 제약업체들이 학계와 공동연구조직
을 결성,일본인 특유의 유전자 데이터를 모으기로 했다.
인간게놈지도 완성의 주도자인 미국의 FDA(식품의약국)는 당장 신약
판매 승인심사에 게놈데이터를 활용할 예정이다.
게놈정보는 IT(정보기술)산업과 바이오산업을 연계하는 실마리를 제
공 새 산업을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미국의 가전및 컴퓨터업계는 엄청난 자금을 투자,유전자활용 반
도체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히타치,올림푸스 광학공업등 일본의 가전 정밀공학업체들은 인간 유전
자로부터 질병을 진단하는 검사장치를 개발,곧 상품화한다.
이와 더불어 게놈지도 완성이 벤처기업의 또 다른 성공으로 비쳐져 앞
으로 바이오벤처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만 바이오 관련 벤처만 1만개가 넘는 실정이다.
이들은 미국및 유럽 일본의 대형 제약회사와 연계,첨단분야의 개척을
주도하고있다.
제약업체는 신약 개발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바이오업체는 생산 판매
에 대한 걱정없이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바이오혁명에 걸림돌이 없는 것은 아니다.
바이오산업은 대표적인 "고수익-고위험"산업이므로 기업들의 투자리스
크가 너무 크다.
따라서 어느 정도 투자해야될지 고민거리다.
인간게놈지도도 여러 나라들이 협력해서 완성했을 정도다.
인간 단백질 합성연구등 포스트게놈연구의 투자에 정부및 업계 학계
가 공동으로 뛰어들고 있는 것도 이때문이다.
인간 유전자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윤리적 법적 사회적인 문제도 뒤따
를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과 결혼에서 유전자정보를 활용해 인간 차별을 하게 될 날도 멀
지 않았다.
개인정보의 보호등도 골칫거리다.
또 셀레라제노믹스사가 유전자 특허를 추진,인류의 공동유산인 게놈정
보의 사유화를 꾀하고 있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