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ocess : 직무조사 및 분석을 통한 핵심과 비핵심부문 분석
(비교적 정형화되고, 단순 반복적이며, 부가가치가 낮은 부문)
* 활용 배경(목적)
- 고정비의 변동비화를 통한 원가 절감
- (비핵심부문의 아웃소싱을 통한) 핵심역량 강화
- 사원들의 3D 부문 기피현상(노사문제화)
- 증설, 개설 등으로 인력소요 사유 발생시 단수노무공정의 경우 정규
인력 투입의 딜레마 발생
- Field Focus 축소
2. 도입후의 장점
- cost 절감
- 근무공정(3D 공정, 단순공정)으로 인한 사원불만 제기 감소
- Field Focus 축소로 집중력 강화
3. 아웃소싱 사례
* 소사장
- 생산라인중 일정 분야의 전문가로서 생산성 및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부문 (해당부문 사원들과 함께 소속 이관)
*사내밴처(물량도급)
- 기계장치(소형금액)중 UP-GRADE가 지속적으로 필요하고, 개발가능성
이 높은 부문
-> 부자재 등과 같은 재생가능 분야
* 도급(인원도급)
- 단순 반복적 성향이 강하며, 사원들의 업무기피 현상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문으로 처음부터 외부 위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함
--> 포장 등 후가공 분야
4. 업체 관리
* 관리전략 : 효율적 관리를 통한 서비스의 질적 향상 도모와 협력업
체 자체의 관리운영 능력 향상 유도
* 관리 방법 : 1) 일일 미팅을 통한 수시 상황 체크
2) 평가를 통한 재계약 및 용역비 연계
※ 평가요소
1) 관리자평가
2) 인력관리 능력
3) 작업수행능력
4) 안전관리능력
5) 재무평가
출처: 한국생산성본부, 생산부문 아웃소싱 전략 세미나 중에서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