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연봉제 및 성과배분제 도입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27.1%인 1천
2백75개소가 연봉제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발표했다.
또 조사대상의 21.8%인 1천25개소가 성과배분제를 실시중인 것으로 집
계됐다.
근로자 1백명이 넘는 사업장중 4곳당 1곳꼴로 연봉제를 실시하는 등
과거 연공서열형 임금 지급관행이 퇴조하고 있다.
조사가 처음 시작된 지난 96년말에는 연봉제와 성과배분제 도입 비율
이 각각 1.6%, 5.7%에 그쳤으나 99년에는 이 비율이 각각 15.1%, 16%
로 높아졌다.
지난해에는 각각 23%, 20.6%를 기록하는 등 매년 상승해왔다.
상용근로자 1천명이상 기업의 연봉제 도입비율은 51.5%, 5천명이상 기
업은 71 .8%로 기업 규모가 클수록 연봉제하는 사업장이 많아지고 있
다.
특히 30대 그룹 사업자의 경우 62%, 공기업의 72.4%가 연봉제를 실시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관리사무직의 연봉제 적용비율이 48.5%인데 반해 생산직은 13.8%에 그
쳤다.
연봉제 도입 형태에서 "기본급을 기준으로 업적에 따라 개인별 인상률
을 적용하는" 혼합형이 44.2%로 가장 많았고 미국식의 순수 성과급 형
태는 12%에 불과했다.
기업들은 연봉제 효과로 직원들의 태도변화를 가장 높게 평가한 반면
인건비 절감 효과는 거의 없다고 응답했다.
연봉제의 가장 큰 문제로 평가에 대한 불신을 지적했다.
연봉제 실시 이유로는 생산성 향상 57.3% <>인력 및 임금관리 편의 제
고 15 .1%) 우수인력 채용 16.5% 등으로 대답했다.
노동부 관계자는 "기업의 42.9%가 연봉제를 확대하며 27.3%는 성과배
분제를 늘릴 계획을 갖고 있다"며 "다양하고 유연한 형태의 임금제도
가 갈수록 늘어날것"이라고 전망했다.
2001.02.28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