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는 등 대구지역 IDC에 기업들의 유치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지난해말부터 민간기업들까지 IDC를 잇따라 구축, 난립 양상마저 빚
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데이콤의 자회사 KIDC는 지난해 8월 대구시 중구
동인동에 KIDC대구센터를 구축했다. 지하 2층, 지상 10층 규모로 설립
된 KIDC대구센터는 지역기업들을 대상으로 기가비트급 초고속 네트워
크망을 기반으로 한 코로케이션, 웹호스팅, ASP 서비스 등을 지원하
고 있다.
한국통신 대구본부도 지난 1월 대구시 남구 봉덕동 본부 사옥내에 500
여평 규모의 KT-IDC를 구축, 현재 지역 40여업체가 입점해 있다.
KT-IDC는 다른 IDC와는 달리 과금관리 및 회수대행 시스템을 갖춰 기
업고객의 영업관리까지 아웃소싱하고 일반 전용회선 및 프레임릴레이
(F/R), 일반전화망(PSTN)간 네트워크 연동이 간편해 인터넷을 기반으
로 한 부가통신사업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3시장 지정업체인 티아이엔씨도 지난 2월부터 IDC인 DITC(Daegu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개관식을 갖고 IDC 시장선점 경쟁에
뛰어들었다.
DITC는 고성능 프로세스가 내장된 서버 100대와 무정전 이중화 전원
공급장치 등 최첨단 부대시설을 갖춘 것이 특징이며 현재 80여 업체
가 입주, 코로케이션과 서버호스팅, ASP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
고 있다.
(재)대구테크노파크 입주업체 디토정보기술도 지난 10일 대구 침산동
에 최첨단 설비를 갖춘 ZIDC를 개관, IDC 시장경쟁에 가세했다.
중소기업형 IDC를 표방하고 있는 ZIDC는 코로케이션이나 서버호스팅에
서 네트워크 제공 및 감시기능에 그치고 있는 기존 IDC와는 달리 하드
웨어에서 운용체계(OS), 소프트웨어까지 토털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처럼 지역 IDC 구축업체간의 경쟁이 가열돼 공급과잉현상이 빚어지
면서 가격덤핑이나 입주업체 부풀리기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IDC 구축업체 관계자는 “IDC업체간에 세 과시를 위해 실제 입주하지
도 않은 기업을 입주업체로 등록해두는 경우가 상당수 있고, 특정기업
에 평생동안 공짜로 IDC 서버를 빌려주는 사례까지 생기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