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게 전환되고 있다.
최근 KIDC·한국통신·하나로통신 등 주요 IDC들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던 포털·검색 업체의 비중이 크게 줄어드는
데 반해 든 교육·전자상거래·애플리케이션서비스제공(ASP) 업체 비
중은 계속 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수익모델 찾기가 닷컴기업들의 최대 관심사가 되면
서 인터넷업체들의 주력 사업방향도 단순히 회원수를 늘리기 위한 서
비스 위주에서 실질적인 수익 위주로 바뀌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
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실제로 KIDC의 경우 지난해 7월까지만 해도 전체 입주사의 36%에 달했
던 포털·검색 업체 비중이 지난해 12월 23%로 떨어진 데 이어 4월말
에는 16%로 크게 낮아졌다.
반면 ASP 및 솔루션 업체는 지난해 말 22% 수준에서 최근 27%로 늘어
나면서 검색·포털 분야를 제치고 KIDC 입주사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
을 차지하는 업종으로 부상했다.
또 지난해 7월 8%에 불과했던 전자상거래 업체 비중은 지난해 12월
12%로 늘어난 데 이어 4월말에는 16%로 크게 높아졌으며 지난해말 2%
정도에 불과했던 교육업체도 최근에는 5%로 늘어나는 등 높은 증가세
를 보였다.
한국통신 IDC도 이와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우선 지난해 7월
10%에 달했던 포털·검색 업종의 비중이 지난달말에는 6% 수준으로 낮
아진 반면 지난해 11월까지만 해도 6%에 불과했던 전자상거래 비중은
9%로 높아졌다. ASP·솔루션 및 교육 분야의 비중도 소폭이기는 하지
만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하나로통신 IDC의 경우도 지난 1월말 기준 25%였던 포털·검색
업체 비중이 이달들어 20%로 낮아진 데 반해 전자상거래 및 교육업체
비중은 각각 13%, 7%에서 16%, 9%로 증가했다.
이밖에 전문IDC인 지앤지네트웍스의 경우는 전자상거래와 솔루션 등
의 비중이 오히려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지만 입주사가 지난해말 135개
사에서 지난달말에는 195개사로 무려 50% 가까이 증가, 업체수는 증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