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노키아는 이달 안에 한국시장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신모델 2종류
(노키아8887:셀룰러, 노키아8877:PCS)를 시판한다.
이 제품들은 지난해 노키아와 제휴를 맺은 국내업체 텔슨전자가 주문
자상표부착방식(OEM)으로 생산한다. 생산물량은 앞으로 시장상황에 따
라 달라질 전망. GSM과 TDMA 방식 휴대전화를 연간 1000만대 만들어
전량 수출하는 노키아의 마산공장이 활용될 수도 있다. 노키아가 신제
품을 공개하면서 삼성, LG 등 국내 메이커들과의 한판 쟁탈전이 불가
피해지고 있다.
시장점유율이 70%에 달하는 국내 업체들의 두터운 벽에 부딪혔던 것.
그러나 이번에는 각오가 특별하다. 노키아는 현재 37%인 세계시장 점
유율을한국과 일본시장 공략을 통해 40%로 높이려 하고 있다.
요르마 올릴라 회장은 올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투자설명회에
서 14∼24세 젊은층의 절반가량이 1년안에 휴대전화를 바꾸는 한국,
일본시장에서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의 기회를 잡을 것 이라고 밝혔
다.
특히 일본에서 파나소닉과 공동으로 짓고있는 단말기 공장이 내년에
나 가동에 들어가는 것으로 미뤄보면 노키아가 맘먹고 한국시장을 노
리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노키아는 한국을 중국진출의 교두보로
활용할 계획이다.
국내 업계에서는 노키아의 최종 목표가 IMT-2000이라고 보고 있다. 단
말기가 완전히 다 바뀌는데다 장비수요도 엄청나기 때문. 노키아코리
아는 지난달 한국통신 자회사인 KT아이컴이 실시한 비동기 IMT-2000
장비 공급제안서 접수에 루슨트테크놀로지스, 모토로라 등과 함께 참
가했다. 노키아코리아는 단말기 사업부(NMP)외에도 네트워크 사업부
(NET), 인터넷 보안솔루션 사업부(NIC) 등 3가지 주력 사업부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