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소싱이 급증하고 있다.
LG화학, 삼성정밀화학 등 주요 화학업체들은 제품 개발의 핵심 공정
은자사 연구소가 담당하되 기초과학 분야와 비핵심 공정은 관련 대학
이나 국공립연구소, 벤처기업에 아웃소싱을 주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현상은 산.학.연 프로젝트를 통해 업체는 제품 개발기간 단
축,비용 절감, 사내 연구인력 효율 제고 등 1석3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난 98년 45건(38억원)에서 올해 120건
(약 64억원)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의 대표적인 산.학 협동 사례는 LG화학 화학공정연구소가 미 메
릴랜 드대 최규용 교수팀과 공동으로 참여한 "중합공정 핵심기술개
발"과제로 기업과 대학 연구팀이 결합해 시너지 효과를 거둠으로 본격
화 됐다.
삼성정밀화학은 향후 3년간 23억원을 투입해 산.학.연 프로젝트를 추
진 할 방침이다.
삼성정밀화학은 이 밖에도 신규 진출을 강화하고 있는 생명과학 분야
에

다.
한화석유화학도 KAIST, 연세대, 부산대, 한국자원연구소 등 국내 연
구소 및 대학과 고지혈증 치료제, 고효율 청색 발광고분자 개발 등 13
건(6억 원)의 산.학.연 합동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과탄산소다와 폴리비닐알콜, 초미분 실리카 등 신제품 개발에 박차
를 가 하고 있는 동양제철화학은 제품 개발공정 중 핵심이 되는 공정
만큼은 자 체기술로 해결하지만 나머지 공정은 한국화학연구소나 한양
대.광운대.인 하대 등에 아웃소싱해 사내 연구인력을 효과적으로 운용
하고 있다.
이수화학은 썬바이오, FOB, 페타젠 등 국내외 전문 기술업체와 공동
으로 화학 및 생명공학 부문에 합동 프로젝트를 추진중이라고 밝혔
다.
이러한 연구개발 아웃소싱은 몇해전만해도 제자리 걸음을 면치 못했는
데, 이번 산.학.연 연구사례는 지난 해부터 본격적으로 붐이 일면서
화학업체들의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연구 모델로
자리를 잡을 것으로 업계는 내대보고 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