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보다는 기존고객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와 마케팅
행사가전개되고 있다. 포화 상태에 이른 신규고객 시장보다는 기존 고
객층을 완벽하게 붙잡겠다는 포석이다.
10대 신규시장에 치중했던 이동통신 업체들은 최근 20~30대 기존 고객
층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KTF와 SK텔레콤은
최근각각 ‘메인(Main)’과 ‘유토(UTO)’를 내놓고 기존 VIP 고객들
을 확실한 고객으로 잡아두기 위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양사는 기존 25~35세 VIP 고객들의 라이프 사이클에 맞는 요금 체계
와 영화ㆍ공연ㆍ패밀리레스토랑 할인 등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이고 대
대적인 광고ㆍ마케팅전을 펼치고 있다.
수입차 업계도 신규 고객 보다는 기존 고객에 무게 중심을 두고 있
다. 기존 고객에게최고의 만족도를 제공함으로써 추후 차량 교체시 재
구매를 유도하는 동시에 ‘입소문’을 통한 신규 고객을 창출하자는
전략.
한성자동차, BMW코리아,한국도요타 등은 기존 고객들을 대상으로 자
사 브랜드 이미지에 맞는 연주회나 패션쇼, 전시회, 강좌, 골프대회
등을 개최하고 있다.
백화점 업계는 자사카드를 사용하는 ‘단골고객’관리에 열중하고 있
다. 롯데, 신세계,현대 등 대형 백화점들은 사은품이나 경품 행사 때
자사카드 고객들만을 위한 ‘카드 선물부’을 별도 운영, 단골 고객들
을 우대하고 있다.
신세계 백화점은 3월 우수고객을 집중 관리하는 ‘CRM(고객관리)팀’
을 만들었다. 기존 고객 중 20%의 우수고객을 선별, 생일이나 기념일
에 선물을 보내고 각종 행사정보를 미리 알려주는 등 단골 고객 관리
를 철저히 하고있다.
금융업계도 기존 고객 잡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 달
부터 2개월간 기존 고객 중 로열 MVP, 로열 VIP 고객 등을 대상으로
전화와 전자우편으로 무료 법률 자문서비스를 제공, 호평을 받고 있
다.
또 대구은행은 최근 기존 가계대출 고객들에게도 저금리 혜택을 주기
위해 영업점장 금리 감면권을 현행 1.5%에서 3.5%로 확대하는 조치를
취했다.
KTF의 한 관계자는 “신규 고객을 창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존 고
객들을 관리하는것도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며 “마케팅의 타깃
이 신규 고객에서 기존 고객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