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2005년까지 정보기술(IT) 등 6개 전략 분야를 주도할 학사
이상 석.박사급 고급 인력 40만명이 양성된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에서도 6개 분야 관련 학과 정원이 대폭
늘어나며, 수도권 인구 집중 억제 차원에서 지난 20여년간 금지돼 온
수도권 대학의 총정원 증원도 나노공학(NT) 등 일부 분야에서 예외적
으로 인정된다.
정부는 15일 청와대에서 김대중대통령 주재로 한완상부총리 겸 교육인
적자원부 장관 등 14개 부처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내년부터 2005년까
지 2조2천4백억원을 인력 양성에 투자하는 내용의 "국가전략 분야 인
력 양성 종합계획"을 확정해 발표했다.
2006년까지 과학기술 경쟁력 10위 이내(현재 28위) 진입을 목표로 집
중 육성하는 국가전략 분야는 IT.생명공학(BT).NT.환경공학(ET).우주
항공(ST).문화콘텐츠(CT) 등 6개다.
양성 인력 40만명 가운데 기존 대학이나 기업에서 배출되는 인력은 22
만1천9백33명이며, 나머지 18만6천4백86명은 대학 및 대학원 학과 신
설.증원, 민간 기업의 인력 개발 지원 등으로 양성된다. 전체 양성 규
모 중 IT 분야가 27만5백25명으로 가장 많다.
교육부는 인력 양성을 위해 내년과 2003년 증원되는 국립대 교수 2천
명 가운데 8백명을 국가전략 분야에 배정할 방침이다.
또 대학의 석.박사 과정에 산업체 참여를 확대시키고, 전략 분야의 유
관 분야간 공동 연구에 1천3백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IT 분야는 정보통신부, BT.ST 분야는 과학기술부와 산업자원부, NT 분
야는 과학기술부, ET 분야는 환경부, CT 분야는 문화관광부가 맡아 구
체적인 분야별 인력 양성 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분야별 주요 추진계획은 다음과 같다.
<>IT(정보통신)=내년부터 2005년까지 1조1천8백40억원을 투자할 계획
이다. 6T 전체 투자액인 2조2천4백억원의 52.8%를 차지한다.
우선 기존 대학과 대학원이 IT관련학과를 신설하거나 정원을 확대할
때 적극 지원한다. 특히 IT분야의 전문대학과 대학원을 중점지원,육성
한다. 소프트웨어분야의 학과 또는 대학을 설립할 때 집중지원한다.
IT학과 교육과정을 산업체 수요 위주로 개편한다. IT 비전공 학생에
게 IT교육의 부전공 또는 복수전공기회를 준다.
또 소기업의 정보화인력을 강화하고 3만개 중소기업의 IT화를 지원한
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통신서비스 정보통신기기 등의 분야에 2005
년까지 필요한 27만여명의 인력중 13만8천여명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다.
<>BT(생명공학)=4천4백70억원이 지원된다.
우선 민관공동으로 2002년 미국 샌디에이고 인근에 "코리아 바이오 밸
리(KoreaBio Valley)"를 마

이곳을 통해 해외인력과 공동연구는 물론 기술과 인적교류를 활성화하
는 등 해외거점으로 활용한다.
또 현재 서울대가 추진중인 "BT 단기기술 인력과정"을 2003년까지 5
개 대학으로확대한다.
춘천시(강원) 생명공학연구원(대전) 영동대(충북) 상주대(경북) 바이
오21센터(경남) 전북대(전북) 나주대(전남) 제주대(제주)등 전국 8개
바이오벤처 기업지원센터를 2002년부터 집중지원한다.
또 같은 해에 산업기술대학에 BT전문대학원을 신설하고 2005년 오송보
건의료 과학단지에 보건과학기술원을 설립한다.
정부는 유전체학 단백질체학 생물정보학 분야의 인력을 집중 육성해 3
천여명을 배출할 계획이다. 신규수요인력은 9천4백70명이다.
<>NT(나노공학)=2005년까지 9백10억원이 투자된다. 나노전자공학 나노
소자 나노측정 등 최첨단 분야에 지원된다.
이때까지 신규수요인력은 4천2백명.단기적이나마 2천4백15명을 양성
할 계획이다 .투자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국제경쟁력이 있는 연구자와
연구그룹에 우선투자된다. 최소 10개 이상의 세계적 수준의 나노기술
선두그룹을 육성할 계획이다.
2002년부터 "나노기초연구지원사업"을 신설한다. 양자연산 생체소자
분자소자 등 신기술분야의 기초연구인력 양성을 지원한다. 또 2004년
까지 산.학.연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나노종합센터"를 구축한
다 .
<>ST(우수항공)=2천5백80억원이 지원된다. 위성체와 탑재체, 발사체,
위성활용분야가 지원 대상이다. 7백30명의 인력을 키워낼 계획이다.
산업체와 연구기관별 전문화와 특성화를 유도, 효율성을 기한다. 현대
모비스는 로켓엔진과 랜딩기어 전문기업으로 육성한다. 인공위성연구
센터(KAIST)는 과학위성과 인력양성의 중추기관으로 키운다. 한국항공
우주연구원은 항공우주전문기관으로 확대한다.
우주정거장건설 등 국제협력프로그램에도 적극 참여, 기술의 글로벌화
를 이룬다 .
<>ET(환경공학)=5백90억원을 지원해 6천4백여명의 인력을 양성한다.
김포매립지내 환경실리콘밸리(에코밸리)를 조성한다.
토양오염 환경컨설팅 전문가를 육성해 산업현장에 집중 배치한다.
<>CT(문화콘텐츠)=게임과 에니메이션 분야 등 4년제 대학에 관련학과
를 집중 증원하도록 한다. 투자액은 2천10억원이다.
내년부터 연간 1천명씩 총 3천명의 프리랜서 창작자에 대한 자질향상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다.
대전(게임)광주(캐릭터)경주(가상현실)등에 지역별 전문분야를 키우
고 디지털첨단테마파크도 설치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웃소싱자료실에 국가전략분야(IT, BT, NT,
ST, ET, CT) 인력양성 종합계획 전문을 참고하십시요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