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소각장 운영방식 둘러싸고 시와 업체간 갈등 쓰레기난 우려
인천시 소각장 운영방식 둘러싸고 시와 업체간 갈등 쓰레기난 우려
  • 승인 2001.12.24 12: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년 초 본격 가동될 인천시의 청라생활폐기물 소각장이 운영방식을
둘러싸고 시와 업체간의 갈등으로 인천 서북부 지역의 쓰레기 처리에
차질이우려된다.

서구 경서동에 조성된 청라생활폐기물소각장은 시가 800억원을 투입,
3년여의 공사끝에 지난 9월 완공돼 현재 시험가동중이다.

이 소각장은 서ㆍ동ㆍ중ㆍ계양구 등 인천 서북부 4개 구의 생활쓰레기
를하루 500톤까지 처리할 수 있다.

시는 내년 1월부터 이 소각장을 본격 가동키로 하고, 지난달 운영업체
로소각장 건설업체인 삼성중공업을 선정했다.

그러나 소각장 운영방식을 둘러싸고 시와 삼성중공업이 의견대립을 보
여운영에 차질이 빚어질 전망이다.

당초 시는 전반적인 관리는 해당지자체(인천시)가, 소각장 시설의 운
전과보수는 업체가 맡는 ‘혼합방식’ 운영 방침을 정했으나 삼성중공
업측은효율성을 이유로 전면 위탁을 요구했다.

시 관계자는 “최근 전문기관에 운영방식에 대한 용역 결과, 시가 소
각장 관리를 맡을 경우 연간 비용이 56억3,000만원으로, 민간위탁 비
용 60억7,000만원보다 훨씬 적게 드는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혼합
방식은 관리와 운영이 이원화해 신속한 쓰레기 처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시는 소각장 관리소장직을 신설하고, 서기관(4명) 등 공무
원 8명을 배치할 방침이다.

그러나 삼성중공업측은 업무의 효율성과 책임소재의 일관성을 들어 민
간위탁방식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시설 운영에서 관리까지 업체가 일관되게 맡아
야효율적인 업무가 이뤄진다”면서 “서울 경기 등 전국15개 소각장
도 민간위탁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소각장 주변 진입로 개설의 지연도 신속한 쓰레기 처리의 걸림돌로 작
용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서구 경서동 소각장에 바로 연결되는 진입
도로(길이 1.1㎞, 폭10m)공사는 공정률이 40%에 불과해 상당기간 공사
가 늦어질전망이다.

진입도가 개설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년초 소각장에 쓰레기가 반입될
경우쓰레기 수송차량이 소각장주변 도로를 우회해야 돼 인근 주민들
의 집단민원이 우려되고 있다.

주민 박모(46)씨는 “쓰레기 차량들이 우회도로를 이용하면 주민들은
소음과 악취 등으로 큰 불편을 겪게 될 것”이라고 반발했다.

또 관련당국의 분리수거 대책 미비 등 준비부족도 비난의 대상이 되
고 있다.

인천시와 4개 구는 소각장 가동을 불과 10여일 앞둔 시점에서도 가연
성쓰레기 분리수거와 관련, 별도 봉투제작은 물론 분리수거에 대한 주
민 홍보도 제대로하지 않아 쓰레기 수거시 큰 혼란이 예상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