왔다. 반면 해외에 투자한 국내 기업 5개 가운데 4개는 해외 생산활동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산업자원부가 해외투자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해외 제조업 투
자실상 및 실태조사 결과 분석’에 따르면 조사대상 모기업(본사)의 41.8%
가 5년 이내에 국내 공장을 폐쇄하거나 축소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
로 조사됐다.
반면 외국에 있는 현지법인의 생산활동은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는 응답
비중이 79.1%나 됐다.
국가산업단지 입주 기업 2,026개사 가운데 37.3%인 755개사도 국내 공장
의 폐쇄 또는 축소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그동안 우려됐던 제조업 공동화 현상이 조만간 현실로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높아

그러나 정부측은 “제조업의 해외투자는 글로벌 경제체제하의 기업 생존
전략으로서 부정적으로만 볼 수는 없으며 아직 제조업 공동화 현상은 본
격화되지 않고 있다”며 낙관론을 펴 대조를 이루고 있다.
산업자원부 최준영 산업정책국장은 “정부는 제조업의 해외투자로 인한
선순환 효과를 높이면서 탈공업화 과정에서 공동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
도록 중소·벤처기업 창업 활성화와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해 기
업의 해외이전 부문을 메워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밖에 국내 공장을 폐쇄 또는 축소하겠다는 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전자
통신이 46.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가산업단지 입주기업들도 아직
해외투자가 없는 기업의 경우 3년 이내에 74.2%가 해외 이전 계획을 갖
고 있고 해외 이전후 34.1%가 국내 공장 축소를 검토하고 있다 답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