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 평균 가동률이 32% 정도에 불과하다.
서울시가 넘쳐 나는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92~96년 7백여억
원을 들여 소각장을 완공, 97년부터 가동하고 있으나 노원구 주민들
이 다른 지역 쓰레기 반입을 막는 바람에 쓰레기양이 모자라기 때문이
다.
하루 8백t을 태울 수 있는 이 소각장은 현재 노원구에서 발생하는 2백
40t을 처리하고 있어 혈세(血稅)로 지은 시설을 놀린다는 비난을 받
고 있다. 반면 노원구와 맞닿은 강북.도봉구 주민들은 소각장이 없어
아우성이다.
이처럼 지역이기주의로 골치아픈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
가 "환경 빅딜"카드를 꺼내들었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이웃 자치구끼
리 소각장.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재활용 시설 등을 별도로 짓지 않고
교환 사용토록 하는 "빅딜"로 환경정책을 바꾸겠다는 것이다.
환경 빅딜의 첫 단추는 노원.강북.도봉구. 우선 노원구는 강북구(4백
여t)와 도봉구(3백50t)에 쓰

지난해 8월 완공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하루 1백t 처리)을 노원구
와 강북구도 이용토록 한다.
이에 따라 강북구는 캔.플라스틱 등 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설을 지어
노원.도봉구의 폐기물을 받기로 했다. 이들 3개 자치구는 1년여간의
줄다리기 끝에 최근 빅딜에 합의하고 시설 개.보수와 증설에 나섰다.
지금까지 구로구와 경기도 광명시가 소각장을 공동 사용하는 등 타
시.도간 빅딜은 있었으나 서울시내 자치구간 빅딜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서울시에는 ▶소각장 세곳(노원.양천.강남구)▶음식물 쓰레기 처
리장 네곳(도봉.강동.송파.서대문구)▶생활폐기물 재활용 시설 세곳
(성북구.중구.난지도)이 있다. 다음달에는 난지도 1, 2매립지에 음식
물 쓰레기 처리장 공사를 시작하며 마포.용산.중구가 함께 사용하게
된다.
서울시 폐기물시설 관계자는 "앞으로는 25개 자치구를 인접 권역권별
로 나눠 시설을 공동 사용할 수 있도록 적극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