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위탁했으나 매년 위탁 시설물과 운영 인력이 비대화돼 직영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달 31일 울산시에 따르면 지난 97년부터 지난해말까지 여성회관
등 12개 시설과 사무를 민간에 위탁한 데 이어 올해 시립노인요양원,
울산대공원 등 4개 시설을 추가 위탁할 예정이어서 민간위탁 시설이
16개로 늘어난다.
시는 지난해 말까지 민간위탁으로 공무원 정원 112명을 줄이고 시설
운영 인력도 44% 감축해 13억원의 시비 절감 효과를 거두었다고 밝혔
다.
그러나 일부 위탁 시설의 경우 서비스질

보다 더 낮게 평가되는 경우도 발생,위탁운영의 실효성에 논란이 일
고 있다.
생활폐기물소각시설을 비롯한 장애인복지시설,상하수도계량기 검침,여
성회관 등은 민간위탁했으나 점차 비용이 더 늘어나고 조직도 비대화
되고 있다.
특히 시설관리공단의 경우 문수운동장 등의 업무가 추가되면서 당초
156명에서 180명으로 증원된데다 울산대공원 위탁 운영에 40명의 증원
이 불가피해 갈수록 비대화 현상을 낳고 있다.
이에 일부 시민들은 “민간위탁을 하더라도 시의 예산은 오히려 더 늘
어나고 있어 전반적인 검증 및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