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는 인적자원관리론이 발간 됐다.
인적자원관리의 주요 내용을 기술함에 있어 인적자원관리의 체계가 형
성되어 온 학문적 배경을 고찰하고 조직관리론의 기본적인 접근방식
이 효율적인 관리체계를 강조해 온 과학적 관리론에서, 호손실험을 통
해서 밝혀진 조직내 인간들 간의 정서적·사회적인 유대관계의 중요성
을 강조한 인간관계론으로 발전되어온 과정을 살펴본다.
이러한 학문적 배경 속에서 발전되어온 인적자원관리는 인적자원계
획, 채용관리, 직무설계, 교육훈련, 경력관리, 평가 및 보상, 노사관
계 등의 7가지 주요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전자원계획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적정한 인적자원의 규모를 예측하
고 분석하는 기능을 말한다. 또한 채용관리는 사내외 노동시장에서 기
업이 필요로 하는 많은 인재들이 지원하도록 유인하고 이중 기업의 니
드에 맞는 인적자원을 적절히 선발하는 과정이다.
직무설계는 조직의 기본적인 조직관리형태에 따라 그 성격이 달라지
게 되므로 직무설계에 대한 논의로 들어가기 전에 조직형태에 대한 설
명이 있게 된다. 교육훈련 시스템은 조직, 개인 그리고 과업의 니드
를 분석하여 교육훈련의 목적과 구체적인 방향을 정립한 후 적절한 교
육방법의 개발과 실행을 통해서 학습효과를 높이고 현업에 적용가능성
을 높이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노사관계의 목적은 전통적 목적과 현대적 목적으로 구분해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노사관계를 기술함에 있어 노사관계의 발전단계와 노
동조합의 조직 및 노동시장 그리고 단체협상으로 대표되는 노사관계
제도 등을 다루게 된다.
고려아카데미편저/김종인 엮음/22,000원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