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집도 할 수 없게 됨에 따라 10만명에 육박하는 카드모집인들의 실업
대란이 불가피하게 됐다.
정부는 카드사들이 영업점 신설과 가맹점내 부스 설치 등을 통해 자체
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카드사들은 비용부담을
이유로 선뜻 나서지 않고 있어, 정부의 ‘5·23 카드종합대책’이 상
당한 후유증을 낳을 전망이다.
25일 금융감독위원회와 금융계에 따르면 7월부터 사전동의에 의한 직
장방문외에는 일체의 방문모집 행위가 금지되면 9만8800여명에 이르
는 카드모집인 가운데 상당수가 일자리를 잃게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LG·삼성·현대 등 전문계 카드사들의 경우 영업점이 회사마다
전국적으로 30∼50개에 불과,이들 유휴인력을 흡수할 여지가 거의 없
는 상황이다.
A카드사 관계자는 “이들 모집인 중 극히 일부만 텔레마케터(전화상담
원)로 재고용하고 대다수는 해고할 수밖에 없다”며 “카드모집인들
이 대부분 월 150만원 가량을 받는 서민층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들
의 대량 실직이 사회문제화할 수 있지만, 카드사들로서도 뾰족한 수
가 없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정부당국은 카드업도 소매금융업인 만큼 대리점을 늘리거나 대형 가맹
점에 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자체적으로 이들의 일자리를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카드사들은 은행권이 지점을 줄이는 대신 자동입출금기
(ATM)나 자동지급기(CD)가 설치된 무인점포를 늘리는 마당에,카드사들
에 영업점을 늘리라는 요구는 추세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
다.
B카드사 관계자는 “영업점포망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추가투자
가 불가피한데,이는 결국 카드 회원들의 부담으로 전가될 가능성이 크
다”고 주장했다.
금융계는 카드 모집인들이 보험상담사나 저축은행 등의 대출모집인으
로 전업하기도 여의치 않다고 말하고 있다.
보험사의 경우 이미 대대적인 상담사 감축에 돌입한 상태인데다 대출
모집인에 대한 정부규제도 카드업과 유사한 방식으로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