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점과 개선방안" 건의서에 따르면 세계 환경산업은 2010년까지 연
평균 12%의 높은 성장률이 예상되는 고부가가치.유망산업이라며 정부
의 환경산업에 대한 특화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대한상의는 건의서에서 세계 50대 환경기업의 연평균 매출액이 2조4천
억원에 이르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환경기업들은 낙후된 기술수준 등으
로 평균 24억원에 불과할 정도로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
다.
또한 2010년 세계환경시장의 규모가 1,15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
므로 세계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환경산업의 전문화 유도 등 획기적인
환경산업 육성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이를 위해 "환경전문기업" 분류기준을 마련하고, 이에 선
정될 경우 조세감면, 기술자금지원 등 금융.세제혜택을 부여하는 방안
을 적극 검토해 줄것을 요구했다. 또 환경기업의 수출지원을 위해 수
출대상국가별로 특성화된 환경산업을 지정.육성하는 장기전략도 필요
하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환경산업 육성전략>
1. 환경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환경 전문기업에게 집중화하
여야 한다.
2. 국내 환경산업의 해외진출을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3. 환경기초시설 민자유치 사업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4. 국산 신기술 평가인증제도가 실효성을 갖추어야 한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