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지로서의 기능과 역할 필요할때
전문지로서의 기능과 역할 필요할때
  • 승인 2001.09.07 12: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업운영의 효율성과 주주이익의 극대화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
이 컨설팅이라면 아웃소싱은 컨설팅 방법론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다
시 말해서 아웃소싱은 컨설팅 솔루션의 한 Method(방법)로서 컨설팅산
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컨설팅산업과 아웃소싱은 기업에 대한 Service(용역)를 제공한
다는 측면에서 공통점이 있고 컨설팅이 기업의 아웃소싱을 전략적 차
원에서 유도해내는 역할을 한다는 측면에서 양자가 결합되었을 때 높
은 시너지효과를 발휘한다.

한국컨설팅협회가 아웃소싱타임스에 관심을 갖는 것도 이 때문이다.
기업의 경영활동을 전략, 운영, 인사·조직, IT분야로 크게 나누어
볼 때 전 산업과 전 업무영역에 걸쳐 아웃소싱이 일반화 되고 있다.
세계적인 시장의 통합과 치열한 경쟁구조속에서 전략적인 선택과 집중
없이 기업이 살아남기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나 2000년 하반기부터 불어닥친 세계적인 불황속에서 기업들의 아
웃소싱이 매우 활발해졌을 뿐만 아니라 과거와는 다른 몇가지 중요한
양상을 지니고 있다.

첫째 인사, 총무 분야의 아웃소싱에서 질적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다.
후생급여, 총무 등의 단순업무 위주의 외부 아웃소싱이라는 고정된 틀
에서 벗어나 임직원의 인사평가나 보상과 같은 핵심적인 업무까지 아
웃소싱을 확대하기 시작한 것이다.

둘째 생산, 제조 분야의 아웃소싱이 확대되고 있다. 지금까지 선진기
업들이 내부에 끌어안아 왔던 주요제품의 생산기능을 과감하게 분리
해 아웃소싱으로 조달한다는 것이다. IBM이나 미쓰비시전기 등은 미국
내의 통신단말기 생산공장을 생산전문 메이커인 미국의 솔렉트론
(Solectron)사에 매각해 아웃소싱으로 조달하겠다고 나섰다.

셋째 기업경영의 핵심인 연구개발 분야도 아웃소싱한다. 기술개발 경
쟁이 치열한 바이오 업계나 연구개발 리스크가 매우 높은 게임업체를
중심으로 R&D 분야의 아웃소싱이 급진전되고 있는 것이다.

넷째 부품 및 원자재 등의 조달에서도 아웃소싱이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다. 일체의 지연, 혈연 등의 관계에서 벗어나 질 좋고, 값이 싸면
서, 신속하게 납기를 맞춰 주는 기업에서 부품을 조달하겠다는 것으
로, 거래선의 이동을 의미한다.

다섯째 아웃소싱을 전제로 하는 새로운 기업이 탄생하고 있다. 인사
및 총무, 생산, 판매, 연구개발 등의 기능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면서
제품을 만들어 이익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경영을 한다는 것이다.

이 시점에서 아웃소싱 타임스가 해야 할 일은 크게 세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아웃소싱 전문기업이 전문성과 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일, 둘째로 아웃소싱 전문기업과 고객사를 연결하여 수요를 창출해내
는 일, 그리고 아웃소싱의 필요성을 국민적 차원에서 널리 홍보하는
일이다.

창간 6주년을 맞는 아웃소싱타임스가 이상의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해
낼 때 국내유일의 아웃소싱전문지로서의 역사적 사명을 감당하는 것이
요 독자의 신뢰를 받는 신문이 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