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일본에 이어 중국과 정부차원의 전자상거래 협력채널을 마련하
는 등 동북아 3국간 e-트레이드 협력이 구체화되고 있다.
산업자원부는 30일 서울에서 한.중 전자상거래 고위실무협의회를 열
고 한.중 전자상거래협력위원회 설치와 한.중 경제무역협력 웹사이트
공동 구축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그동안 민간 중심으로 추진된 양국 전자상거래 협력이 정
부 차원에서도 본격 추진될 것으로 산자부는 예상했다.
산자부는 △양국간 표준화 △전자무역 실현 △전자상거래 투자유치 등
을 협의할 한.중 전자상거래협력위원회가 가동될 경우 현재 운영중인
한.일 전자상거래정책협의회"와 연계, 동북아 3국간의 전자무역(e-트
레이드)시대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중국측이 제안한 한.중 경제무역협력 웹사이트의 구체적인 구축방
안에 대해서는 내년초 양측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는 한.중 투자
협력위원회에서 논의키로 했다고 산자부는 말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이번에 양측이 협력채널 구축에 합의한 것은 앞으
로 e-트레이드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전자상거래 분야
에서 양국간에 각종 협력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의도"라고 풀이했
다.
현재 중국에는 1500개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운영되고 전자상거래 규모
가12조원 규모에 머무르고 있으나 발전속도가 상당히 빠른 것으로 평
가되고 있다.
이 관계자는 "협력채널이 구축될 경우 현재 민간차원으로 추진되는
PAA(범아시아전자무역협의체)사업을 정부차원에서도 지원하게 될 것이
며 이경우 PAA사업이 더욱 탄력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