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 눈길을 끌었다.
지식성과표는 각국의 지식기반경제의 주요 지표를 10점 만점을 기준으
로 몇 점인가를 표시한 것이다.
지식성과표의 그래프가 원 형에 가까울수록 또 수치가 클수록 해당분
야의 성과가 우수함을 의미하 는 것이다.
즉 각 평가항목에서 우수한 점수를 얻을수록 지식성과표의 도형은 가
장 바깥 쪽 원에 근접하는 모양을 지니게 된다.
지식성과표를 통해 한국과 중국의 지식경제 수준을 쉽게 비교해볼 수
있 다.
■교육 관련분야■ 국내총생산(GDP)대비 교육부문 공공지출, 대학진학
률 등 많은 부문에서 한국이 더 나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외국의 영향력에 대한 개 방정도나 대졸자의 실무적응력은 한
국보다 중국이 높아, 중국의 인적자 원이 해외투자자들에게 좀 더 매
력적으로 보일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 ■정보통신 관련분야■ GDP
대비 이동통신 투자와 전자상거래 분야에서 중국의 수치가 한국보다
높다.
중국의 시장잠재력과 정보통신기술인력을 고려할 때 이 분야에서 중국
의 빠른 성장이 예상된다.
■이노베이션 관련분야■ 이노베이션의 핵심인 연구개발(R&D)에서 아
직은 한국이 중국보다 앞서고 있다.
그러나, GDP대비 해외직접투자는 중국이 우리보다 월등하다.
자본 주의의 역사가 깊은 한국에서 기업가정신의 수치가 낮은 것이 흥
미롭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