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이중 파견근로자를 비롯한 계약직, 임시직 등 비정규직의 비율이
28.8%에 이를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회원사 및 단체 275개사를 대상으로 올해 인력채
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채용인원이 작년보다 3.8% 늘어나고 신입보다
는 경력직 채용이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전경련이 밝힌 "고용동향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75개사중
78.5%인 216개사가 올해 채용계획이 있다고 응답했고 채용규모는 3만7
천8명으로 작년의 3만5천653명보다 3.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인력채용 사유를 보면 "결원의 충원"이 42.8%로 가장 많았고 "우수한
인재 확보가 28.1%, "사업의 확대"가 11.8%, "사업내용의 전문화·고
도화" 9.6%, "구조조정완료로 신규채용" 4.3%, "경기의 회복" 3.4% 등
의 순이었다.
인력채용규모가 크게 증가한 업종으로는 전기.전자가 51.1%로 증가율
이 가장 높았으며 운수창고업과 무역도매업이 각각 32.8%, 15%의 증가
율을 보였다.
인력채용이 필요없다고 답한 기업들의 경우 "기존과잉인력 정리의 어
려움"과 "부서 통.폐합 등 기업구조조정에 따른 과잉인력" 등 인력과
잉으로 채용계획이 없다는 곳이 55.6%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인건
비 절감"이 25.4%를

로 채용을 억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채용계획 중 경력직의 비율은 30.8%로 작년보다 1.3%포인트 늘어
나 신규 졸업자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에 대한 낮은 평가가 경력직
선호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따라 기업들이 경력직 사원을 채용하는 사유로 "신규졸업자들의
실무지식부족"이 61.1%로 가장 많았고 "교육훈련비용 부담"이
25.4%, "종업원수를 줄여 총인건비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가 4.9% 등
으로 나타났다.
특히 작년도 채용인력들에 대한 평가를 보면 "기본적인 인성 및 태
도"가 5점 만점에 3.9점, "기초적인 능력 및 지식"이 3.8점인 반
면 "전문지식과 기술"은 3.2점에 그쳐 학교교육이 전문지식과 기술의
교육에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채용계획중 비정규직(계약직, 임시직, 파견근로자)의 비율은
28.8%로 작년에 비해 1.5%포인트 감소해 정규직 채용이 증가할 것으
로 예상됐다.
전경련은 "최근의 경기호조 전망에도 불구하고 대기업들은 여전히 기
존의 과잉인력과 높은 인건비를 인력채용의 부담요인으로 지적하고 있
다"며 "기업들은 사업의 확대나 경기회복의 전망이 있더라도 기존 과
잉인력 때문에 산업구조 및 경기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인력관리전
략을 수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웃소싱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