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경쟁력 높이려면 6시그마경영 도입해야
기업 경쟁력 높이려면 6시그마경영 도입해야
  • 승인 2002.06.08 12: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향후 기업들의 경영성과는 6시그마경영 달성수준에 따라 차별화될 것
이며, 무한경쟁시대에 기업이 성장·발전하기 위한 경쟁력 강화를 위
해서도 6시그마 경영 도입은 필연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 배영일 수석연구원은 31일 CEO Information 제349호
‘6시그마 경영의 이해와 실천’이라는 제목의 연구보고서를 통해
“앞으로 기업경쟁력은 6시그마경영을 도입했는가의 여부에 따라 결정
될 것이며 6시그마경영이 글로벌스탠더드로 자리잡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6시그마경영의 가장 큰 특징은 생산현장에서 불량을 최소화하는데 초
점을 뒀던 전통적인 품질관리에서 벗어나 회사내 전 부문에서 불량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자는 데 있다.

6시그마 경영은 통계적 품질관리를 기반으로 하여 각종 경영혁신 운동
의 정신·기법이 접목돼 만들어 졌으며, 현장 품질개선이나 경영혁신
의 차원을 넘어서 전사적 경영시스템으로 기업사이에 정착되고 있다.

배 연구원은 “최근엔 기업간 거래에서도 상대기업이 6시그마경영을
하고 있는지 여부가 거래의 전제조건이 되고 있을 정도”라며, “제조
업체는 물론 금융, 서비스, 공공기관 등에서도 6시그마경영이 도입될
전망이어서 여기에 뒤쳐질 경우 결국 경쟁에서 탈락할 수밖엔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배 연구원은 그러나 “6시그마경영의 도입을 위해선 통계적 방법론에
능통한 핵심인력을 육성하는 데만도 6개월 정도가 소요된다”며 “조
직의 변화관리까지 감안하면 단기간에 성과를 창출하는 것은 불가능
한 만큼 충분한 사전준비와 체계적인 도입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고 강조했다.

이어 배 연구원은 “6시그마경영을 효율적으로 정착시키려면 이벤트
중심의 활동을 지양하고 수익과 직결되는 개선과제만을 엄선한 뒤 톱
다운 방식으로 추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기업경쟁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도움이 되지 않는
슬로건이나 표어 등 외형적인 활동은 중단하되, 핵심인력 중심으로 6
시그마경영을 내실있게 추진, 점차 참여인원을 늘려가서 조직전체에
뿌리를 내리게 해야한다고 제안했다.

기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6시그마경영은 지난 96년 이후 6시그마경영
을 도입한 국내 13개 대기업이 총3조원 이상의 비용을 절감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국내외 기업들이 세계시장에서 일류가 되기 위해선 6
시그마 경영이 필수적이라고 인식하던 차에 나온 것이어서 더욱 관심
을 모을 전망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